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정보처리분야 안전에 대한 연구 지원 프로그램 원문보기 1
- 국가 프랑스
- 생성기관 국립연구원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06-04-28
- 등록일 2006-05-07
- 권호
전 세계가 정보화 사회로 나아가고 있는 가운데 그와 관련한 안전과 안보 또한 심각한 문제로 대두하고 있다. 이런 추세에 발맞추어 이 분야 연구에 대해 재정적 지원을 하고자 이번 프로젝트를 마련하게 되었다.
안전과 안보에 관한 문제점은 수많은 연구보고서에서도 이미 제기되어 왔으며, 프랑스 하원의원 피에르 라스보르드에 의해 최근 발간된 "정보 시스템의 안보, 프랑스의 중대한 도전(2005년 11월 26일, http://www.lasbordes.fr/IMG/pdf/26_novembre_doc_definitif.pdf)"이란 보고서에서도 이러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 정보 안전과 안보의 기본 요소들에 대한 제어의 중요성과 특히 중소기업에게 있어 중요한 경제적 차원에서, 시민과 정부차원의 정보안전문제의 중대한 결과들에 대해 강조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의 목적은 정보처리 시스템의 안전과 안보분야의 과학적이고 법적, 정책적, 사회적인 면에 걸친 총체적 기본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이 분야의 과학기술적 제어를 강화할 수 있는 전략적 접근을 동반한 지식적 자료를 마련할 수 있도록 프랑스 기술팀의 전문성을 높이고자 한다.
정보시스템 안보는 상당히 광범위한데, 여기서 말하는 안보는 시스템, 소프트웨어, 프로토콜, 전체적 설계, 물질적 구성요소(ex. 광케이블), 정보저장 기술에 해당한다. 안전과 안보 모든 연구분야의 증명, 공용화, 검증과 관련한 소유권과 연구 접근에 있어서도 법적으로 유효성을 인정하는 환경이 마련되어야 한다.
정보처리 안전과 안보에 관한 연구에 대해 2년, 3년 또는 4년 단위로 지원할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정보처리 분야 안보와 관련된 공통 연구 분야의 연구팀(메커니즘, 장치, 구성요소, 체계구축과 구축망, 프로토콜)은 물론 기타 다른 분야의 연구팀과의 연합 연구도 지원하게 될 것이다. 연구팀은 최소 2명 이상으로 구성되어야 할 것이며, 기업 지원은 중소기업의 경우 최대 연구비의 60%, 그 외 40%에 이를 것이며, 산업적, 상업적 성격의 공공 연구시설에도 이 분야의 협력 연구의 경우 연구비의 일부를 지원하게 될 것이다.
[목차]
1. 프로젝트의 내용과 목적
1.1. 소개
1.2. 목적
1.3. 예상 프로젝트 형식
2. 프로젝트 해당 과학기술 분야
2.1. 분야1: 정보시스템 안전
2.2. 분야2: 정보화 시스템 안보
2.3. 분야3: 신뢰성 증명
2.4. 분야4: 정보처리 안전과 사회
3. 프로젝트 지원 해당 자격과 선별 기준
3.1. 선별 과정
3.2. 자격 기준
3.3. 평가, 선별 기준
4. 재정 지원 규정
4.1. 지원 비율
4.2. 기타 조건
4.3. 경쟁 분야와 관련한 규정
5. 프로젝트를 통한 획득 결과 보급
6. 응모 방식
6.1. 프로젝트 관리
6.2. 응시 필요 문서
6.3. 응시 필요 정보, 기한
7. 부록1: 평가표
8. 부록2: 프로젝트의 구체적 사용 모델
9. 부록3: 계약서 모델
안전과 안보에 관한 문제점은 수많은 연구보고서에서도 이미 제기되어 왔으며, 프랑스 하원의원 피에르 라스보르드에 의해 최근 발간된 "정보 시스템의 안보, 프랑스의 중대한 도전(2005년 11월 26일, http://www.lasbordes.fr/IMG/pdf/26_novembre_doc_definitif.pdf)"이란 보고서에서도 이러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 정보 안전과 안보의 기본 요소들에 대한 제어의 중요성과 특히 중소기업에게 있어 중요한 경제적 차원에서, 시민과 정부차원의 정보안전문제의 중대한 결과들에 대해 강조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의 목적은 정보처리 시스템의 안전과 안보분야의 과학적이고 법적, 정책적, 사회적인 면에 걸친 총체적 기본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이 분야의 과학기술적 제어를 강화할 수 있는 전략적 접근을 동반한 지식적 자료를 마련할 수 있도록 프랑스 기술팀의 전문성을 높이고자 한다.
정보시스템 안보는 상당히 광범위한데, 여기서 말하는 안보는 시스템, 소프트웨어, 프로토콜, 전체적 설계, 물질적 구성요소(ex. 광케이블), 정보저장 기술에 해당한다. 안전과 안보 모든 연구분야의 증명, 공용화, 검증과 관련한 소유권과 연구 접근에 있어서도 법적으로 유효성을 인정하는 환경이 마련되어야 한다.
정보처리 안전과 안보에 관한 연구에 대해 2년, 3년 또는 4년 단위로 지원할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정보처리 분야 안보와 관련된 공통 연구 분야의 연구팀(메커니즘, 장치, 구성요소, 체계구축과 구축망, 프로토콜)은 물론 기타 다른 분야의 연구팀과의 연합 연구도 지원하게 될 것이다. 연구팀은 최소 2명 이상으로 구성되어야 할 것이며, 기업 지원은 중소기업의 경우 최대 연구비의 60%, 그 외 40%에 이를 것이며, 산업적, 상업적 성격의 공공 연구시설에도 이 분야의 협력 연구의 경우 연구비의 일부를 지원하게 될 것이다.
[목차]
1. 프로젝트의 내용과 목적
1.1. 소개
1.2. 목적
1.3. 예상 프로젝트 형식
2. 프로젝트 해당 과학기술 분야
2.1. 분야1: 정보시스템 안전
2.2. 분야2: 정보화 시스템 안보
2.3. 분야3: 신뢰성 증명
2.4. 분야4: 정보처리 안전과 사회
3. 프로젝트 지원 해당 자격과 선별 기준
3.1. 선별 과정
3.2. 자격 기준
3.3. 평가, 선별 기준
4. 재정 지원 규정
4.1. 지원 비율
4.2. 기타 조건
4.3. 경쟁 분야와 관련한 규정
5. 프로젝트를 통한 획득 결과 보급
6. 응모 방식
6.1. 프로젝트 관리
6.2. 응시 필요 문서
6.3. 응시 필요 정보, 기한
7. 부록1: 평가표
8. 부록2: 프로젝트의 구체적 사용 모델
9. 부록3: 계약서 모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