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전염병과 항공 여행 제한의 상관관계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유레카얼러트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과학기술문화
  • 원문발표일 2006-05-01
  • 등록일 2006-05-09
  • 권호
영국 보건 전문기관에서 수행하여 PloS 메디신 지에 최근 발표된 한 연구에 의하면, 심각한 인플루엔자가 발병한 지역으로부터의 항공여행객을 제한 하는것은 질병의 확산방지에 별로 도움을 주지않는다고한다.

때때로 새로운 종류의 바이러스가 나타나 독감보다 더 심각한 질병을 일으키기도 한다. 예를 들면 1918년에 독감 바이러스가 2천만명에서 1억명의 사람들을 살상하였을때 이런 일이 일어났다. 최근에는 새로운 종류의 바이러스인 조류독감에 대한 심각한 우려가있다.

현재 이 바이러스는 조류에서 인간으로 쉽게 전이되지는 않으며 사람들간에도 잘 전염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이 바이러스가 변종되어 인간대 인간의 전염이 가능하게 되리라는 우려가있다. 이런 일이 발생하면, 변종된 바이러스는 인류의 보건에 심각한 위협이될것이다.

현재의 기술로 이러한 새로운 바이러스에 대항할 백신을 만드는데는 수개월이 걸릴 것이다. 백신이 만들어지면 이미 늦을수도있다. 바이러스가 이미 세계 대부분 지역에 전파되었기 때문이다.

보건 당국은 바이러스의 확산을 막기위해 모든 방안을 강구해 두어야한다. 국제 여행이 늘어나서 바이러스는 이전보다 더 빨리 전파될수있다. 국제 여행을 제한하는것이 하나의 방안이 될수도있다. 그러나 여행의 제한이 바이러스 확산을 조절하는데 얼마나 효과적인지 예측하는것이 중요하다.

영국의 보건 방역기구의 전염병 센터 과학자들은 수학적 모델링을 사용하여, 1968년부터 1969년사이에 세계 독감 발병 정보를 분석했다. 이 정보를 사용하여 컴퓨터로 세계 발병을 시뮬레이션하는 가상 실험을 수행했다. 연구자들은 어떻게 바이러스가 한도시에서 다른 도시로 전파되는지
살펴보았으며 어떻게 여행 제한이 확산 속도를 감소시키는지 확인했다.

수학적 모델을 통해 연구자들은 항공 여행의 제한이 성과가 거의 없다고 결론을 내렸다. 이는 아마도 다른 바이러스에 비교하여 독감 바이러스는 한사람에서 다른 사람으로 아주 빠르게 전파되며 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주기 때문인것 같다.

발병이 시작되면 항공여행의 금지는 도시들간의 모든 비행을, 발병이 감지되는 시점에서 바로 금지해야만 효과를 볼수있다. 따라서 바이러스의 지역적 확산을 막기위해 다른 방안을 사용하는것이 더 효과적이다.


*techtrend참조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