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NSF 2020 Vision -1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국립과학재단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06-05-05
  • 등록일 2006-05-09
  • 권호
< NSF법(1950)에 따른 NSF 미션 >

“과학기술진흥의 촉진, 국가 보건복지 및 번영의 증진, 국가 방위 및 안보의 확보 및 기타 관련된 목적의 달성”(National Science Foundation Act of 1950)

< 2020 Vision >

NSB가 생각하는 2020년 NSF의 비전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포함된다.

1) 최첨단 분야의 기초연구 및 응용 연구 주도
2) 과학기술 및 관련 연구 분야에 있어 소외된 계층을 포함한 모든 미국 국민과 기업들의 능력 계발 및 과학기술 분야에서 계속적인 외국 학생 및 과학자 유치
3) 초, 중, 고교의 과학기술 교육 접근방법의 개발 및 실험, 이를 위한 학교와 박물관, 수족관 및 대학 등 교육관련 기관간의 파트너십 촉진
4) 신지식의 개발과 실험을 위하여 관련 연구기관에 필요한 각종 도구 및 설비의 제공
5) 학습과 발견, 혁신의 증진을 위하여 국가적으로 중요한 핵심 기업들의 탁월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재정 및 인력 자원의 능력 유지

< 전략적 우선순위 (Strategic Priorities) >

위와 같은 2020 비전을 달성하기 위하여, NSF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전략적 우선순위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1) 세계 기초 및 응용연구 분야, 특히 가장 가능성이 높고 잠재력이 있는 영역에 있어서의 미국의 우월성 확보 및 유지
2) 세계적 수준의 과학기술 및 공학 분야 인력을 확보하는 동시에 전 국민의 과학기술분야에 있어서의 지식과 관심 촉진
3) 연구기기 및 설비, 사이버인프라(cyberinfrastructure)와 최첨단 실험기기 등을 포함하는 핵심 인프라에 대한 투자를 통한 미국의 기초연구역량 구축

< 2000년대 이후 NSF에 대한 연방정부의 자금지원 추이 >

2002년 미 의회는 과학기술 및 공학 분야의 중요성을 인식, NSF의 예산을 향후 5년 간 2배로 증액, 2007 회계연도까지 총 100억 원에 이르도록 하는 법안(National Science Foundation Act of 2002)을 통과시켰다. 이러한 예산확충을 체계적으로 실행하기 위하여 NSB는 2003년 다음과 같은 여섯 가지 핵심 목표에 새로 지원될 연구자금을 집중하는 것을 권고하는 보고서(제목: Fulfilling the Promise: A Report to Congress on the Budgetary and Programmatic Expansion of the National Science Foundation)를 출간하였다:

1) 연구자들의 생산성 향상 및 학생들의 수혜가능성 증대
2) 과학 및 공학연구와 교육에 있어서의 새로운 영역 개척
3) 다양하고 세계화된 경쟁력 있는 과학기술 및 공학 분야 인력의 확보
4) NSF의 연구자금을 지원받는 기관의 수 증가 및 분야의 다양화
5) 과학기술자들에 대한 보다 발전된 실험설비 및 사이버 인프라 제공
6) NSF 사업관리에 있어서의 우수성 유지

그러나 계획된 자금 증액은 2004 회계연도 이후 다소 주춤한 상태이다

*techtrend참조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