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NSF 2020 Vision -2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국립과학재단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06-05-05
  • 등록일 2006-05-09
  • 권호
< NSF의 2020 비전 달성을 위한 단기 목표 >

최근의 주춤한 연방정부의 자금지원양상은 NSF로 하여금 향후 국가적 과학기술 및 공학연구와 교육에서의 역동성과 우수성 창출을 목표로 하는 2020년의 NSF 비전 실현을 위한 단기적 계획에 대하여 보다 심사숙고할 필요성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따라 NSB는 다음과 같이 NSF를 위한 단기적 목표들을 수립하였다:

1) NSF는 위에서 제시된 바 있는 전략적 우선순위에 합치하면서도 국가적으로 가능성이 높고 성장 잠재력이 큰 과학기술분야에 초점을 맞춘 포괄적 전략계획을 개발하여야 한다.

2) NSF는 응용연구 지원 분야에 있어서의 가능성 확충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 NSF는 가장 혁신적이고 잠재력이 큰 응용연구를 지원하여야 한다. 이때 지원할 필요성이 있는 연구는 해당 분야에 있어 새로운 세부 연구영역을 창출하고 패러다임 변화를 유발하며 신기술을 야기하는 연구를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를 지원하기 위해서 NSF는 실적평가시스템(merit review system)과 peer review를 통하여 계속적으로 재단의 과제 선정과정을 발전시켜가야 할 것이다.

3) NSF는 현재의 이공계 교육관련 지원 현황을 평가하고, 이러한 지원책들이 과학기술 및 공학, 수학 분야 교육(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STEM)에 미치는 영향력을 극대화하기 위한 새로운 전략들을 개발하여야 한다.
- NSF는 현재 미국의 STEM 교육에 있어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데, 그 역할은 초중등교육 및 대학교육과 같은 공식적 교육과정뿐만 아니라 일반 국민의 과학교육을 위한 과학센터나 박물관 등을 통해서도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새로 개발될 전략들은 공식적, 비공식적 교육을 통한 일반 국민의 과학에 대한 관심 및 지식 증대와 이를 통한 국가적 과학기술수요 충족에 관한 모든 내용을 포함하여야 한다. 새로운 전략들은 역동적인 연구 커뮤니티 창출과 세계적 수준의 과학 및 기술역량을 보유한 연구인력 수요 확보에 대한 내용도 다루어야 한다.

4) NSF는 과학기술분야 연구자 및 연구자금 배분에 있어 새로운 연구자를 확보하고 연구진의 다양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
- 미국의 대학들은 기초과학연구에 있어서의 미국의 우위 확보와 유지뿐 아니라 역량 있는 과학기술인력 생산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미국이 소수인종집단과 여성, 장애인 등의 과학기술분야 잠재력 계발에는 소극적이었던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이들의 잠재력 계발을 위하여 NSF는 향후 교육기관의 연구진의 다양성을 향상시키고 소수인종집단 및 여성, 장애인의 과학기술분야 진출 및 연구진 임용을 장려하기 위하여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시하여야 한다. NSF는 과학기술분야의 차세대 핵심 연구자로 활약할 박사학위 취득 직후의 연구자들에 대한 자금지원 확충을 위해서도 노력하여야 한다.

*techtrend참조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