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중국, 앞으로 15년 동안 정보화 전략 확정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시나닷컴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06-05-09
  • 등록일 2006-05-10
  • 권호
최근 중공중앙 사물실, 중국 국무원 사물실은 공동으로 “2006~2020년 국가 정보화 발전 전략”(이하 ‘전략’이라 한다)을 발표했다.

<현단계 존재하고 있는 주요한 문제점>

“전략”에 따르면, 현재 중국 정보화 건설에 존재하고 있는 주요한 문제점은 ∆정보기술 분야에서 독자적인 혁신 부족, ∆ 대부분 핵심기술과 관건장비는 수입에 의존, ∆기업을 주체로 하는 혁신체계 개선, ∆ 자체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장비제조 능력 강화, ∆ 정보기술 응용수준 향상 등이며, 총체적으로는 응용수준이 실제 수요보다 뒤떨어졌고 정보기술의 잠재적인 에너지가 충분하게 발굴되지 못해 부분적인 지역에서의 효과가 확실하게 나타나지 못하는 등이다.

또한 정보안전 문제점도 돌출하고 있다. 세계적인 범위에서 컴퓨터 바이러스, 네트워크를 통한 해킹, 스팸메일, 유해 정보와 가짜 정보,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법 행위 등 문제점들이 날로 돌출하고 있어 이러한 문제점들은 잘 해결되지 못하면 중국 경제사회 발전과 국가 안전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밖에 정보응용 분야에서의 격차가 커지고 있다. 정보응용 수준이 선진국에 비해 격차가 매우 크며 중국 내에서도 지역과 분야가 다름에 따라 정보기술 응용 수준과 네트워크 보급이 불균형을 이루고 도시와 농촌 지역에서 주민과 항업간의 격차도 크게 나타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체제 메커니즘 개혁도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고 있으며 정보화 관리 체제 개선, 전신업체에 대한 감독 관리 체제 개혁, 정보화 법제 건설 등 방면에서도 문제점들이 많이 존재하고 있다.  

<앞으로 15년 동안의 전략 목표>

“전략”에 따르면, 2020년까지 중국 정보화 발전의 전략 목표에는 ∆ 종합 정보기초 시설 보급, ∆정보기술 분야에서의 독자적인 혁신 능력 향상, ∆ 정보산업 구조 조정, ∆높은 차원에서의 국가정보 안전 보장 수준 업그레이드, ∆국민경제와 사회정보화 분야에서 획기적인 성과 이룩, ∆초보적인 신형 공업화 모델 확립, ∆국가 정보화 발전의 제도 환경과 정책체계 완비, ∆국민들의 정보기술 응용 능력 향상 등이 포함됐다

<앞으로 중국 정보화 발전의 전략 중점>

“전략”에 따르면 15년 동안 중국 정보화 발전의 전략 중점에는 네트워크 통합을 통해 차세대 네트워크의 순조로운 전환을 실현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네트워크 구조 조정을 통해 네트워크의 성능을 향상시켜 종합적인 기반 플랫폼을 구축하게 되며 개혁 강화를 통해 서비스, 네트워크와 단말기 등 차원에서 “3망통합(무선망, 유선망, TV망)”을 추진하게 된다.

또한 다양한 형식의 광대역 접속을 발전시켜 인터넷 보급을 추진하며 유선, 지상파와 위성 등 각 종류의 디지털 TV방송 서비스를 발전시켜 현재의 TV방송 프로그램을 아날로그 방식에서 디지털 방식으로 전환한다. 뿐만 아니라 레이저 센서, 주파수 식별 등 기술을 채용하여 네트워크 기능을 확충하며 종합 정보기초 시설 완비를 통해 차세대 네트워크 전환을 실현하게 된다.

이 밖에 정보산업의 구체적인 전략 중점에 대하여 “전략”에서는 핵심 경쟁 능력을 보유한 정보산업 육성을 최우선으로 꼽았다. 중국은 앞으로 15년 동안 중점적으로 IC, 소프트웨어 관건 전자부품, 관건 장비 등 기반 산업을 발전시키며 세계 산업 사슬 가운데서의 역활을 대폭 강화하여 점차적으로 독자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정보화 산업을 육성하게 된다.

* kosen21 참조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