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OECD, 「과학기술 교육의 학생 관심도 변화」 보고서를 발간 원문보기 1

  • 국가 기타
  • 생성기관 경제협력개발기구
  • 주제분류 과학기술인력 , 과학기술국제화
  • 원문발표일 2006-05-04
  • 등록일 2006-05-18
  • 권호
2003년 7월, 글로벌 과학 포럼의 제 9 차 회의에 참석한 대표들은 과학, 기술(S&T) 분야에 대해 젊은이들이 관심을 잃어가는 현상에 대해 연구하는 워킹그룹을 창설했는데, 프랑스와 네덜란드가 작성한 제안서를 토대로 했다. 젊은이들이 실제로 관심을 읽고 있는 지를 밝혀내고, 그 원인과 대응책을 마련하기 위해 OECD 차원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는 것에 합의를 이루었다. 상기 워킹그룹에서 합의한 결과 및 권고는 하단에 요약한다.

1. 최근, S&T 분야의 학생 수는 절대 조건으로는 증가하고 있지만, 상대적 조건으로는 감소하고 있다.

결과: 지난 15년간, 대다수의 OECD 국가들에서 고등교육을 받는 학생 수는 상당히 증가했다. S&T 분야 학생들의 절대 수 역시 전체적으로 증가를 보이나, S&T 학생 비율은 동 기간 동안 꾸준히 감소했다. 일부 교육, 이를테면, 수학이나 물리학은 특히 심각할 정도이다.

권고: OECD 국가들은 이와 같은 현재 추세가 앞으로 미칠 영향에 대해 깊이 있는 연구를 진행해야 한다.

2. 기존의 통계 데이터는 학생들의 관심을 측정하여 분석하기에는 충분치 않다.

결과: 또한, 학생 수에 관한 데이터는 S&T 교육에 대해 학생들이 갖는 실제의 관심을 꼭 반영한다고 볼 수는 없다.

권고: 국제적 협의 및 합의를 통해 양적인 지수의 일관성, 중요성, 범위 및 적용범위를 향상시켜야 한다.

3. S&T 연구에서 여성의 수는 아직도 상당히 모자란다.

결과: 비록 제 3 기 교육의 여학생 수가 남학생 수 보다 급속히 증가했지만, S&T 분야를 선택하는 여학생 비율은 대다수 OECD 국가에서 아직도 40% 미만이다.

권고: 여학생의 수를 증가시키는 방법이 S&T 학생의 총 숫자를 증가시키는 가장 분명한 방법 같으므로, 정부는 동등한 기회를 마련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도모해야 하면, 부정적인 고정관념을 없애는 단계를 밟아야 한다.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