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중국, 국가 기상 과학기술 혁신체계 구축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중국과학기술정보연구소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06-05-19
  • 등록일 2006-05-22
  • 권호
5월 18일에 개최된 “중국 기상과학기술대회”에서 중국 기상국의 고위 관계자는 “11차 5개년 계획(2006~2010년) 기간 중국은 기상 과학기술 혁신을 강화하여 중국 기후 관측 시스템 등을 포함한 일련의 국가 기초조건 과학연구 플랫폼을 중점으로 하는 국가 기상 과학기술 체계를 구축하게 된다”고 밝혔다.

한편 중국 날씨와 기후 예보는 경험예보에서 현재 슈퍼컴퓨터를 이용한 수치예보, 기상 요소의 관례 관측로, 그리고 현재 레이더, 위성을 이용한 관측으로 발전해 왔으며, 이 과정에 과학기술 진보의 중요성이 충분하게 반영되었다. 지난 수십년 동안 기상 과학기술은 줄곧 중국 과학기술 계획 가운데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해 왔다. 이번 “11차 5개년 과학기술 계획”에도 “재해성 날씨에 대한 정확한 수치 예보 및 단기 기수 집합 예측”, “기상 검사·측정과 대이터 처리” 등 관련 프로젝트들은 중점내용으로 다뤄졌다.

중국 기상국 친따허(秦大河) 국장은 “중국 기상과학기술 혁신 체계는 독자적인 혁신의 기반이며 기상업무 서비스 능력을 향상시키는 관건이 될 뿐만 아니라 전체 기사사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보장하는 체계”라고 말하면서 “중국 기상국은 ‘11차 5개년 계획’ 기간 국가 기상 과학기술 혁신 체계를 중점적으로 구축하게 된다”고 5월 18일에 개최된 기상 과학기술 대회에서 밝혔다.

그리고 친따허 국장은 국가기상 과학기술 혁신 체계 구축에서의 중점 내용을 아래와 같이 구체적으로 설명했다.

Δ 중국 내 각 종류 기상과학 연구기구, 대학, 국가 중점실험실, 각 지방 기상 서비스 부문 및 관련 기업을 주체로 한 기상 과학연구와 기술 개발 체계를 구축하며, 점차적으로 국제 선진수준을 보유한 개방된 실험실, 연구 시험단지 및 연구센터를 구축하게 된다.

Δ 기상 과학기술 성과 전환과 응용 시스템 구축을 통해 기상 과학연구 성과가 실용 업무 서비스에 활용될 수 있도록 격려한다.

Δ 기상 과학기술 플랫폼 구축을 통해 관 부문과의 협력 및 기술 지원과 기술 집성 사업을 추진하게 된다. 이중 중국 기후 관측 시스템을 중점으로, 통일적인 기획 및 표준을 실시하게 된다.

Δ 기상 과학기술 관리 체계 완비를 통해 기상항업에서의 독자적인 혁신과 독자적인 지적재산권 창출을 추진하게 되며 과학기술 투입에 대한 관리 및 효과와 이익을 강화하게 된다.

이번 기상 과학기술 대회는 중국 기상국, 과학기술부, 국방과학기술 공업위원회, 중국 과학원, 국가 자연과학 기금 위원회 등 관련 부문이 공동 주체한 것이다.

* kosen21 참조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