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중국 제조업 목표, 2020년 세계 제조강국 진입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상하이과학기술위원회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06-05-22
- 등록일 2006-05-23
- 권호
최근에 개최된 “2006년 기계 제조업 발전 포럼”에서 중국 공정원(工程院) 류바이청(柳百成) 원사는 “중국 제조업의 발전 목표는 2020년까지 세계 제조 강국 행렬에 진입하여 중국으로 하여금 명실상부한 세계 제조 중심지 하나로 부상시키는 것”이라고 밝혔다.
류바이청 원사는 “제조업은 국민경제의 물질 기초 및 국가 안전의 주요한 보장이 될 뿐만 아니라 국가 경쟁력의 중요한 구현이 되고 있다”며 “현재 중국 제조업 및 하이테크 제품 제조는 세계화의 도전에 직면해 있기 때문에 중국 제조업의 경재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반드시 독자적인 혁신 능력을 향상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중국 제조업에는 ᅀ심각한 자원 소모와 환경오염, ᅀ부가가치가 높지 못한 저급 제품 제조, ᅀ산업구조 불합리 등 문제점들이 존재하고 있다. 또한 중국 제조업 과학기술 수준과 공업이 발전한 나라의 수준을 비교해 볼 때 ᅀ독자적인 혁신능력 부족, ᅀ핵심 제조기술 기반 취약, ᅀ 기술 혁신체계 미흡 등 영역에서 여전히 단계적인 격차가 나타나고 있다.
류바이청 원사는 “현재 중국 대부분 제조 기업들의 기술 개발 능력이 취약하고 기술 혁신 주체가 확실하지 못하기 때문에 반드시 생각을 바꾸고 독자적인 혁신 능력을 강화하여 하루 빨리 기업이 기술혁신의 주체가 되어야 하며 하이테크 기술로 자기업의 제조기술 수준 향상을 촉진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류바이청 원사는 “2020년까지 중국 공업 증가치는 국내생산 총액의 37.7% 안팎에 도달하여 총체적인 규모는 세계에서 앞 자리를 지키는 것이며, 독자적인 혁신 능력 향상과 하이테크 장비 제조 기술 수준 업그레이드를 통해 중국 하이테크 제품 제조의 총체적인 수준을 세계 선진행렬에 진입시켜 薩?제조업을 명실상부한 세계 제조 중심지로 부상시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 kosen21 참조
류바이청 원사는 “제조업은 국민경제의 물질 기초 및 국가 안전의 주요한 보장이 될 뿐만 아니라 국가 경쟁력의 중요한 구현이 되고 있다”며 “현재 중국 제조업 및 하이테크 제품 제조는 세계화의 도전에 직면해 있기 때문에 중국 제조업의 경재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반드시 독자적인 혁신 능력을 향상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중국 제조업에는 ᅀ심각한 자원 소모와 환경오염, ᅀ부가가치가 높지 못한 저급 제품 제조, ᅀ산업구조 불합리 등 문제점들이 존재하고 있다. 또한 중국 제조업 과학기술 수준과 공업이 발전한 나라의 수준을 비교해 볼 때 ᅀ독자적인 혁신능력 부족, ᅀ핵심 제조기술 기반 취약, ᅀ 기술 혁신체계 미흡 등 영역에서 여전히 단계적인 격차가 나타나고 있다.
류바이청 원사는 “현재 중국 대부분 제조 기업들의 기술 개발 능력이 취약하고 기술 혁신 주체가 확실하지 못하기 때문에 반드시 생각을 바꾸고 독자적인 혁신 능력을 강화하여 하루 빨리 기업이 기술혁신의 주체가 되어야 하며 하이테크 기술로 자기업의 제조기술 수준 향상을 촉진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류바이청 원사는 “2020년까지 중국 공업 증가치는 국내생산 총액의 37.7% 안팎에 도달하여 총체적인 규모는 세계에서 앞 자리를 지키는 것이며, 독자적인 혁신 능력 향상과 하이테크 장비 제조 기술 수준 업그레이드를 통해 중국 하이테크 제품 제조의 총체적인 수준을 세계 선진행렬에 진입시켜 薩?제조업을 명실상부한 세계 제조 중심지로 부상시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 kosen21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