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글로벌 전략 원문보기 1
- 국가 기타
- 생성기관 내각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과학기술국제화
- 원문발표일 2006-05-18
- 등록일 2006-05-24
- 권호
<글로벌 전략>이 지향하는 2010년 경의 일본은 "산업의 프론트 러너로서 세계를 리드하는 국가",
"국제사회에서 지적인 리더십을 발휘하는 품격있는 국가"이다.
그 포인트를 다음과 같이 요약 할 수 있다.
1. 인재의 국제경쟁력 강화
(1) 인재의 질 향상
-국제 학력조사: 세계 최고 수준 달성
-아르바이트족(프리터): 약 2할 감소
-청년의 자립을 지향할 새로운 플랜 작성(2007년)
-TOEIC: 700점 이상 배증
(2) 외국인 인재의 수용 확대와 재류 관리의 강화
-고도 인재의 수용 확대를 위한 제도 정비
-개호 등의 분야에도 수용 범위를 재검토
-실효성 있는 재류 관리시스템을 구축
2. 산업의 국제 경쟁력의 강화
(1) 연구개발 기능, 지적재산 전략의 강화
-세계적 연구거점: 30거점 정도
(2) 국제거점 항만, 공항의 기능향상에 의한 국제적 사업전개의 지원
-슈퍼중추항만의 항만코스트, 리드타임: 약 3할 저감, 1일 정도
-공항: 나리타 공항(약 1할) 하네다 공항(약 4할)의 능력증진을 위한 시설정비
(3) 외국자본 투자를 끌기 위한 환경정비
-2010년에 대일투자 대비 GDP 배증 5% 정도
(4) 경영효율화, 부가가치화 등에 의한 농림산업의 국제경쟁력 강화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농업 경영: 농지의 7~8할(2015년)
3. 지역의 국제경쟁력 강화
(1) 지역 다문화 공생사회의 구축
(2) 교류 인구의 확대
-외국인 여행자 수: 1000만명
-도심에서 나리타 공항까지 철도 접근: 30분대
4. 대외정책이 나아갈 방향과 국제사회에의 공헌
(1) EPA공정표에 따른 교섭의 가속과 동아시아 경제권의 구축
-일본의 전체 무역액을 점유율중 EPA 체결국과의 무역액: 25% 이상 기대
(2) 동아시아의 OECD와 같은 국제적 체제 구축을 위한 진행
(3) 일본의 장점분야와 특징을 살려 세계를 리드할 원조정책
(4) 아시아의 포괄적인 국제환경, 에너지 협력의 추진
(5) 자원 에너지정책의 전략적 전개
-에너지 효과개선: 30%(2030년)
-석유의존도: 40%를 하회하는 수준(2030년)
-해외에서의 자주개발비율: 40% 정도(2030년)
(6) 정보 발신력의 강화
-해외의 일본어교육기관에 의한 일본어 학습자 수: 300만명
<목차>
I.책정의 배경과 기본적인 생각.
1.전략성.
2.선택과 집중(비교 우위의 철저.
3.목표 명시·발신과 착실한 실행.
II.목표로 해야 할 모습으로서의 이 나라의 모습.
III.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기본방침.
IV.전략적으로 임해야 할 시책과 목표.
1.인재의 국제 경쟁력의 강화.
2.산업의 국제 경쟁력의 강화.
3.지역의 국제 경쟁력의 강화.
4.대외 정책의 본연의 자세와 국제사회에의 공헌.
V.2010 년경의 대외 경제면에서 본 이 나라의 모습.
"국제사회에서 지적인 리더십을 발휘하는 품격있는 국가"이다.
그 포인트를 다음과 같이 요약 할 수 있다.
1. 인재의 국제경쟁력 강화
(1) 인재의 질 향상
-국제 학력조사: 세계 최고 수준 달성
-아르바이트족(프리터): 약 2할 감소
-청년의 자립을 지향할 새로운 플랜 작성(2007년)
-TOEIC: 700점 이상 배증
(2) 외국인 인재의 수용 확대와 재류 관리의 강화
-고도 인재의 수용 확대를 위한 제도 정비
-개호 등의 분야에도 수용 범위를 재검토
-실효성 있는 재류 관리시스템을 구축
2. 산업의 국제 경쟁력의 강화
(1) 연구개발 기능, 지적재산 전략의 강화
-세계적 연구거점: 30거점 정도
(2) 국제거점 항만, 공항의 기능향상에 의한 국제적 사업전개의 지원
-슈퍼중추항만의 항만코스트, 리드타임: 약 3할 저감, 1일 정도
-공항: 나리타 공항(약 1할) 하네다 공항(약 4할)의 능력증진을 위한 시설정비
(3) 외국자본 투자를 끌기 위한 환경정비
-2010년에 대일투자 대비 GDP 배증 5% 정도
(4) 경영효율화, 부가가치화 등에 의한 농림산업의 국제경쟁력 강화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농업 경영: 농지의 7~8할(2015년)
3. 지역의 국제경쟁력 강화
(1) 지역 다문화 공생사회의 구축
(2) 교류 인구의 확대
-외국인 여행자 수: 1000만명
-도심에서 나리타 공항까지 철도 접근: 30분대
4. 대외정책이 나아갈 방향과 국제사회에의 공헌
(1) EPA공정표에 따른 교섭의 가속과 동아시아 경제권의 구축
-일본의 전체 무역액을 점유율중 EPA 체결국과의 무역액: 25% 이상 기대
(2) 동아시아의 OECD와 같은 국제적 체제 구축을 위한 진행
(3) 일본의 장점분야와 특징을 살려 세계를 리드할 원조정책
(4) 아시아의 포괄적인 국제환경, 에너지 협력의 추진
(5) 자원 에너지정책의 전략적 전개
-에너지 효과개선: 30%(2030년)
-석유의존도: 40%를 하회하는 수준(2030년)
-해외에서의 자주개발비율: 40% 정도(2030년)
(6) 정보 발신력의 강화
-해외의 일본어교육기관에 의한 일본어 학습자 수: 300만명
<목차>
I.책정의 배경과 기본적인 생각.
1.전략성.
2.선택과 집중(비교 우위의 철저.
3.목표 명시·발신과 착실한 실행.
II.목표로 해야 할 모습으로서의 이 나라의 모습.
III.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기본방침.
IV.전략적으로 임해야 할 시책과 목표.
1.인재의 국제 경쟁력의 강화.
2.산업의 국제 경쟁력의 강화.
3.지역의 국제 경쟁력의 강화.
4.대외 정책의 본연의 자세와 국제사회에의 공헌.
V.2010 년경의 대외 경제면에서 본 이 나라의 모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