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오스트리아, 과학기술전문대학원 설치법 공표 원문보기 1
- 국가 오스트리아
- 생성기관 bmbwk
- 주제분류 과학기술국제화
- 원문발표일 2006-05-20
- 등록일 2006-05-25
- 권호
오스트리아의 연구개발지형에 중요한 이정표가 될 과학기술전문대학원 설치에 관한 법률(Bundesgesetz ueber das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Austria)이 5월 19일 공표됐다.
이에 따라 새로 신설될 오스트리아 과학기술대학원(ISTA)의 법적 근거와 운영의 기본 골격이 명확히 마련됐다. 지난 3월 말 오스트리아 하원(Nationalrat)과 4월 연방상원의 의결을 거쳐 이번에 공표된 이 법은 오스트리아 과학기술대학원을 공법상의 법인으로서 연구중심의 이공계 대학원으로 규정하고 있다(제 1조).
제 2조는 오스트리아 과학기술대학원의 목적을 (1) 기초연구 분야에서 최고수준의 연구를 수행하여 새로운 연구분야를 개척하고 발전시키며, (2) 박사과정(PhD 프로그램)과 박사후과정(Post Doc 프로그램)의 형태로 수준 높은 대학원교육을 실시하는 데 있다고 명시했다. 우수한 연구와 박사과정 교육을 결합해 운영한다는 계획인 것이다.
또 이 법은 오스트리아 과학기술대학원 운영 원칙으로 다음과 같은 8개 항을 제시하고 있다:
- 학문과 교육의 자유
- 조직, 매니지먼트, 인사 등 운영의 독립성
- 세계 최고의 스탠다드에 입각한 연구
- 전 세계 우수 연구인력의 충원
- 최고 수준의 신진연구원 육성
- 국제화된 연구 및 교육
- 스핀오프 창업 지원
- 국내외 대학 및 연구기관과의 긴밀한 협력
한편, 법 공표와 함께 이제 설립 작업이 본격화될 오스트리아 과학기술대학원은 초창기에는 각 5명으로 구성된 독자적인 10개 정도의 연구팀으로 꾸려나가면서 완성 시점인 10년 후에는 총 25~30개 연구팀에 약 300여 명의 연구원을 확보하도록 단계적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 kosen21 참조
이에 따라 새로 신설될 오스트리아 과학기술대학원(ISTA)의 법적 근거와 운영의 기본 골격이 명확히 마련됐다. 지난 3월 말 오스트리아 하원(Nationalrat)과 4월 연방상원의 의결을 거쳐 이번에 공표된 이 법은 오스트리아 과학기술대학원을 공법상의 법인으로서 연구중심의 이공계 대학원으로 규정하고 있다(제 1조).
제 2조는 오스트리아 과학기술대학원의 목적을 (1) 기초연구 분야에서 최고수준의 연구를 수행하여 새로운 연구분야를 개척하고 발전시키며, (2) 박사과정(PhD 프로그램)과 박사후과정(Post Doc 프로그램)의 형태로 수준 높은 대학원교육을 실시하는 데 있다고 명시했다. 우수한 연구와 박사과정 교육을 결합해 운영한다는 계획인 것이다.
또 이 법은 오스트리아 과학기술대학원 운영 원칙으로 다음과 같은 8개 항을 제시하고 있다:
- 학문과 교육의 자유
- 조직, 매니지먼트, 인사 등 운영의 독립성
- 세계 최고의 스탠다드에 입각한 연구
- 전 세계 우수 연구인력의 충원
- 최고 수준의 신진연구원 육성
- 국제화된 연구 및 교육
- 스핀오프 창업 지원
- 국내외 대학 및 연구기관과의 긴밀한 협력
한편, 법 공표와 함께 이제 설립 작업이 본격화될 오스트리아 과학기술대학원은 초창기에는 각 5명으로 구성된 독자적인 10개 정도의 연구팀으로 꾸려나가면서 완성 시점인 10년 후에는 총 25~30개 연구팀에 약 300여 명의 연구원을 확보하도록 단계적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 kosen21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