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EU의 나노테크놀로지에 관한 동향 원문보기 1
- 국가 기타
- 생성기관 신에너지산업기술종합개발기구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06-05-24
- 등록일 2006-05-30
- 권호
EU는 2004년 5월 <유럽의 나노테크놀러지 전략을 향해>와 2005년 6월 <나노과학과 나노테크놀러지에 관한 유럽행동계획 2005-2009년>을 발표했다.
이러한 나노테크놀러지 전략과 행동계획에 따른 EU의 동향인 2005년 9월, 2005년 11월 , 2005년 12월 및 2006년 1월 을 소개한다.
# 나노테크 R&D 데이터
<나노테크 전략> 및 <행동계획>을 보강하기 위해 EC의 연구 총국인 나노과학 나노테크 유닛은 관련 예산 데이터와 프레임 워크 계획 데이터를 2005년 12월에 발표.
나노테크 관련 R&D의 공적예산액은 중국이 3위, 한국이 5위, 대만이 7위로 아시아가 열세.
#
2020년까지의 우선적 테마 셋은
-화상기술을 포함한 나노테크 베이스 진단법
-타겟 드럭 딜리버리 기술
-재생의료
#
머티리얼 기술
-물질 특성의 기초적 이해와 제어
-물질의 컴퓨터 설계
-분석기술의 개발
-실험실 합성에서 대량 생산기술로
-바이오 기능 나노 컴포지트 재료
#
우선적 연구영역 6가지와 해결 과제
-More Moore(무어의 법칙의 한계)
-Beyond CMOS(CMOS를 넘어서)
-More than Moore(무어의 법칙 이외의 기술)
-이질의 컴포넌트 통합
-설비와 재료
-반도체 자동설계(EDA)
# 나노재료 섹터의 어플리케이션
재료의 종류 및 어플리케이션을 고려하여 13분야로 분류
* 나노구조재료 * 나노구조물질 *나노입자/나노컴포넌트
* 나노캡슐 * 나노포러스재료 * 나노화이버 * 플러린
* 나노와이어 * 단벽/다벽 카본나노튜브 * 덴드리머
* 분자전기 * 양자도트 * 박막
# 건강 의료 섹터의 어플리케이션
상세 로드맵 작성을 위해 다음의 4가지 분야로 중점 축약
-약품 투여/인캡슐레이션/표적 투여
-분자 화상/바이오 포토닉스/의료 화상
-바이오 칩/대용량 데이터 스크리닝/랩온어칩
-바이오 분자 센서
# 에너지 섹터의 어플리케이션
* 태양전지 * 연료전지 * 열전소자 * 2차전지
* 슈퍼 캐퍼시터 * 수소저장 * 단열과 열전도
* 창단열기술 * 고효율 조명 * 연소
의 10분야로 분류, 그중에서 태양전지, 열전소자, 2차전지, 슈퍼 캐퍼시터, 단열과 열전도레 중점을 둠.
이러한 나노테크놀러지 전략과 행동계획에 따른 EU의 동향인 2005년 9월
# 나노테크 R&D 데이터
<나노테크 전략> 및 <행동계획>을 보강하기 위해 EC의 연구 총국인 나노과학 나노테크 유닛은 관련 예산 데이터와 프레임 워크 계획 데이터를 2005년 12월에 발표.
나노테크 관련 R&D의 공적예산액은 중국이 3위, 한국이 5위, 대만이 7위로 아시아가 열세.
#
2020년까지의 우선적 테마 셋은
-화상기술을 포함한 나노테크 베이스 진단법
-타겟 드럭 딜리버리 기술
-재생의료
#
머티리얼 기술
-물질 특성의 기초적 이해와 제어
-물질의 컴퓨터 설계
-분석기술의 개발
-실험실 합성에서 대량 생산기술로
-바이오 기능 나노 컴포지트 재료
#
우선적 연구영역 6가지와 해결 과제
-More Moore(무어의 법칙의 한계)
-Beyond CMOS(CMOS를 넘어서)
-More than Moore(무어의 법칙 이외의 기술)
-이질의 컴포넌트 통합
-설비와 재료
-반도체 자동설계(EDA)
# 나노재료 섹터의 어플리케이션
재료의 종류 및 어플리케이션을 고려하여 13분야로 분류
* 나노구조재료 * 나노구조물질 *나노입자/나노컴포넌트
* 나노캡슐 * 나노포러스재료 * 나노화이버 * 플러린
* 나노와이어 * 단벽/다벽 카본나노튜브 * 덴드리머
* 분자전기 * 양자도트 * 박막
# 건강 의료 섹터의 어플리케이션
상세 로드맵 작성을 위해 다음의 4가지 분야로 중점 축약
-약품 투여/인캡슐레이션/표적 투여
-분자 화상/바이오 포토닉스/의료 화상
-바이오 칩/대용량 데이터 스크리닝/랩온어칩
-바이오 분자 센서
# 에너지 섹터의 어플리케이션
* 태양전지 * 연료전지 * 열전소자 * 2차전지
* 슈퍼 캐퍼시터 * 수소저장 * 단열과 열전도
* 창단열기술 * 고효율 조명 * 연소
의 10분야로 분류, 그중에서 태양전지, 열전소자, 2차전지, 슈퍼 캐퍼시터, 단열과 열전도레 중점을 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