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전문가 분석자료 : 중국과학기술개발 2005년 보고서(중국어)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과학기술부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06-06-05
- 등록일 2006-06-07
- 권호
1. 분석자 서문
중국의 과학기술은 개혁개방이 시작된 이래 현재까지 진행되고 있으며, 탄탄한 계획과 결과에 대한 평가 등을 통해 국가 과학기술 발전에 전폭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지난 2004년 중국의 주요 과학기술 계획은 863, 성화, 횃불계획 등의 연구에서 좋은 성과를 올렸으며, 특히 연구 성과를 산업화하여 기초연구 결과를 직접적인 경제활동에 이용할 수 있도록 제도화하기도 하였다. 또한 정보화 산업과 자연환경에 대한 국가적인 관심을 통해 과학기술 개발에 힘써 왔으며, 사회 공익사업에도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본 보고서는 총 9개 부분으로 되어 있으며,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부 - 국가 과학기술 시행에 대한 총괄적인 현황
제2,3,4부 - 3대 중요 과학기술계획의 시행현황, 연구항목, 자금투자와 인원, 중대 연구결과에 대한 발표
제5,6부 - 연구개발조건의 설립과 산업화 환경에 대한 시행 현황
제7,8부 - 12개 국가 중대 과학기술 전문항목의 시행현황
제9부 - 중대 과학기술 활동과 과학기술의 연대기 작성을 통한 중대사항과 중요 정보 제공
본 연도 보고서를 통해 현대 중국의 과학기술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을 이해할 수 있었고, 그것이 국가적 차원에서의 지원과 연구에서 끝나지 않고 산업화 공업화 하는 제도임을 알 수 있었다. 중국의 과학기술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과 과학기술 계획정책에 대한 본 보고서가 관련 분야 종사자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리라 기대해 본다(참고-본 보고서는 2005년에 작성된 것으로, 본문에서의 자료는 모두 2004년을 기준으로 하여 작성된 것임을 주지해 주기 바란다).
2. 목차
분석자 서문
1. 과학기술계획 개론
1.1. 각 항목에 대한 배분
1.2. 과학기술계획의 자금 투입
1.3. 과학기술계획의 인원 투입
1.4. 과학기술계획의 주요 성과
2. 하이테크 연구발전 계획(863계획)
2.1. 과제 배분과 경비, 인원 투입
2.2. 주요성과
2.3. 과제 연구현황
3. 국가 과학기술 공관 계획
3.1. 항목 배분과 경비, 투입인원
3.2. 성과
3.3. 각 영역의 주요 연구성과
4. 국가 중점 기초연구 발전 계획(973계획)
4.1. 항목 배치
4.2. 경비와 인원 투입
4.3. 성과 분석
4.4. 성과내용
5. 연구개발 조건 설립
5.1. 중국 중점 실험실 건설 계획
5.2. 중국 중점 실험실 건설 계획
5.3. 국가 공정 기술연구 센터
5.4. 국가 과학기술 기초조건 플랫폼 건설
5.5. 과학연구원, 연구소 사회 공익 연구 전문 항목
5.6. 국제 과학기술 협력 중점 항목 계획
5.7. 국가 소프트웨어 과학 연구 계획
5.8. 과학기술 보급
6. 과학기술 산업화 환경 건설
6.1. 성화(星火)계획
6.2. 횃불계획
6.3. 국가 과학기술 성과 중점 추진 계획
6.4. 국가 중점 신제품 계획
6.5. 과학기술형 중소기업 기술 혁신 기금
6.6. 농업 과학기술 성과 전환 자금
6.7. 과학기술의 경제화 행동 계획
6.8. 생산력 촉진 센터
6.9. 대학 과학기술원 건설
6.10. 국가 농업 과학기술원
6.11. 과학연구원, 연구소 기술 개발 연구 자금
7. 중대 과학기술 전문 항목
7.1. 총괄적인 현황
7.2. 각 항목 성과 진전
7.3. 중대 과학기술 관리
8. 중대 과학기술 활동
8.1. 국가 중,장기 과학과 기술발전 계획 제정
8.2. 전국 과학기술 사업 회의
8.3. 국가 과학기술 장려대회
8.4. 전국 과학기술 활동 주간
8.5. 전국 현,시 과학기술 사업 회의
9. 2004년 과학기술 계획 중점 내용
10. 결론
3. 원문정보
중화인민공화국 과학기술부 발전계획부, 중국과학기술개발 2005년 보고서(중국어), http://www.most.gov.cn/ndbg/ndbg2004/2004.pdf, 2005년 10월
* kosen21 참조
중국의 과학기술은 개혁개방이 시작된 이래 현재까지 진행되고 있으며, 탄탄한 계획과 결과에 대한 평가 등을 통해 국가 과학기술 발전에 전폭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지난 2004년 중국의 주요 과학기술 계획은 863, 성화, 횃불계획 등의 연구에서 좋은 성과를 올렸으며, 특히 연구 성과를 산업화하여 기초연구 결과를 직접적인 경제활동에 이용할 수 있도록 제도화하기도 하였다. 또한 정보화 산업과 자연환경에 대한 국가적인 관심을 통해 과학기술 개발에 힘써 왔으며, 사회 공익사업에도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본 보고서는 총 9개 부분으로 되어 있으며,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부 - 국가 과학기술 시행에 대한 총괄적인 현황
제2,3,4부 - 3대 중요 과학기술계획의 시행현황, 연구항목, 자금투자와 인원, 중대 연구결과에 대한 발표
제5,6부 - 연구개발조건의 설립과 산업화 환경에 대한 시행 현황
제7,8부 - 12개 국가 중대 과학기술 전문항목의 시행현황
제9부 - 중대 과학기술 활동과 과학기술의 연대기 작성을 통한 중대사항과 중요 정보 제공
본 연도 보고서를 통해 현대 중국의 과학기술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을 이해할 수 있었고, 그것이 국가적 차원에서의 지원과 연구에서 끝나지 않고 산업화 공업화 하는 제도임을 알 수 있었다. 중국의 과학기술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과 과학기술 계획정책에 대한 본 보고서가 관련 분야 종사자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리라 기대해 본다(참고-본 보고서는 2005년에 작성된 것으로, 본문에서의 자료는 모두 2004년을 기준으로 하여 작성된 것임을 주지해 주기 바란다).
2. 목차
분석자 서문
1. 과학기술계획 개론
1.1. 각 항목에 대한 배분
1.2. 과학기술계획의 자금 투입
1.3. 과학기술계획의 인원 투입
1.4. 과학기술계획의 주요 성과
2. 하이테크 연구발전 계획(863계획)
2.1. 과제 배분과 경비, 인원 투입
2.2. 주요성과
2.3. 과제 연구현황
3. 국가 과학기술 공관 계획
3.1. 항목 배분과 경비, 투입인원
3.2. 성과
3.3. 각 영역의 주요 연구성과
4. 국가 중점 기초연구 발전 계획(973계획)
4.1. 항목 배치
4.2. 경비와 인원 투입
4.3. 성과 분석
4.4. 성과내용
5. 연구개발 조건 설립
5.1. 중국 중점 실험실 건설 계획
5.2. 중국 중점 실험실 건설 계획
5.3. 국가 공정 기술연구 센터
5.4. 국가 과학기술 기초조건 플랫폼 건설
5.5. 과학연구원, 연구소 사회 공익 연구 전문 항목
5.6. 국제 과학기술 협력 중점 항목 계획
5.7. 국가 소프트웨어 과학 연구 계획
5.8. 과학기술 보급
6. 과학기술 산업화 환경 건설
6.1. 성화(星火)계획
6.2. 횃불계획
6.3. 국가 과학기술 성과 중점 추진 계획
6.4. 국가 중점 신제품 계획
6.5. 과학기술형 중소기업 기술 혁신 기금
6.6. 농업 과학기술 성과 전환 자금
6.7. 과학기술의 경제화 행동 계획
6.8. 생산력 촉진 센터
6.9. 대학 과학기술원 건설
6.10. 국가 농업 과학기술원
6.11. 과학연구원, 연구소 기술 개발 연구 자금
7. 중대 과학기술 전문 항목
7.1. 총괄적인 현황
7.2. 각 항목 성과 진전
7.3. 중대 과학기술 관리
8. 중대 과학기술 활동
8.1. 국가 중,장기 과학과 기술발전 계획 제정
8.2. 전국 과학기술 사업 회의
8.3. 국가 과학기술 장려대회
8.4. 전국 과학기술 활동 주간
8.5. 전국 현,시 과학기술 사업 회의
9. 2004년 과학기술 계획 중점 내용
10. 결론
3. 원문정보
중화인민공화국 과학기술부 발전계획부, 중국과학기술개발 2005년 보고서(중국어), http://www.most.gov.cn/ndbg/ndbg2004/2004.pdf, 2005년 10월
* kosen21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