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기술이전을 둘러싼 현상(現狀)과 향후 추진에 관하여 (2005년도 조사) 원문보기 1

  • 국가 기타
  • 생성기관 경제산업성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06-06-06
  • 등록일 2006-06-07
  • 권호
경제산업성에서는 2004년도에 이어 대학활동 평가방법 개발사업의 일환으로서, 국공사립 대학 및 정부계 연구기관의 산학제휴부국, TLO의 산학제휴활동에 대하여 산업계에서 바라본 평가에 대하여 조사, 분석하고 아울러 대학 등에서 산업계 산학제휴에 대한 견해 및 의견을 청취하여 기술이전을 둘러싼 현상과 과제에 대하여 보고서를 정리, 공표하였다.

1.크게 개선된 산학제휴체제의 평가
이번 조사결과는 2004년도 조사와 비교하여 산업계에서 바라본 대학 등의 산학제휴활동에 대하여 전체의 평가점이 향상되는 등 크게 개선되었다. 또한 산업계 및 대학쌍방이 단순히 문제점을 지적하는 것 뿐만 아니라, 상대의 입장도 이해하는 유연한 대응의 사례와 쌍방이 받아들일 수 있는 조건을 찾아내는 노력 등, 산학제휴체제의 정비가 착실하게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 전체의 특징
계약금액수준· 계약형태에서 본 경우는 대형 공동연구 건수를 확대하는 경향이 있으며, 연구성과의 귀속이 원칙대학이 되는 위탁연구는 크게 감소하는 한편, 성과의 귀속이 공유가 되는 공동연구의 비율이 전체건수의 약 60%-70%로 크게 증가했다. 또한 기술분야별로는, 이전에 평가가 저조했던 바이오분야를 포함한 모든 기술분야에서 이전보다 높은 평가를 받았다. 계약 년도별로는, 국립대학법인화 직후의 2004년 전후에는 크게 평가가 떨어졌지만, 이후에는 평가가 급속하게 개선되고 있다는 것을 이번 조사에 의해 알 수 있어, 산학제휴 현장의 대응이 크게 개선되었다라고 말할 수 있다.

3.산학 쌍방이 관심을 가진 사항과 해결책: Win-Win의 관계구축
산학쌍방의 입장을 이해하여 다양한 옵션 및 대체안으로 타결점을 찾는 사례를 많이 볼 수 있다. 향후에도 산학이 상호이해를 높여 함께 발전할 것으로 기대되고, 정부도 산학제휴활동 촉진을 위해 지원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목차
제1장 대학 등의 산학제휴부국, TLO 등에 관한 산업계로부터의 평가결과
1. 조사방법
2. 앙케이트 결과
3. 조사결과
4. 조사결과에 따른 분석
분석 1. 계약금액수준과 계약형태의 분석
분석 2. 기술분야, 학부별 분석
분석 3. 계약년도별 분석

제2장 산학제휴에 관계하는 산학쌍방의 관심과 최근의 동향
1. 고찰
2. 조사결과의 총괄
참고자료
첨부자료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