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중국, "북경1호" 소위성 정식 운행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중국과학기술정보연구소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06-06-09
- 등록일 2006-06-14
- 권호
과학기술일보 2006년6월9일 보도, “북경1호” 소위성 정식운행발표회가 6월8일 북경 21세기맨션에서 거행되었다. “북경1호”는 고성능 대지관측 위성이며 중국 “제10차 5개년계획” 과학기술공식계획 및 863계획의 일부분이다. “복경1호”는 과학기술부, 베이징시, 국가토지자원부, 국가측량국, 21세기공간기술응용주식회사에서 공동으로 지지하였다.
“북경1호” 소위성의 무게는 166.4kg이고 궤도 높이는 686km이고 중, 고 해상도의 원격 탐지 장비가 설치되어 있으며 고시간 해상도, 고공간 해상도 및 폭넓은 관측범위 등 특징을 갖고 있다. 4m해상도, 24km폭 관측범위, 이는 현재 중국 국내 민용 원격탐지 위성에서 최고 해상도이다. 해상도는 32m, 관측범위는 600km이다. 이 관측범위는 세계동등 해상도에서 가장 넓다.
소위성는 2005년10월27일 러시아 Plesetsk 위성발사 기지에서 성공적으로 발사되었다.
몇 달의 궤도 시험, 시범 운행을 거쳐 위성시스템, 관측제어시스템 및 지상시스템 등 각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되었고 성능이 양호하며 운행이 안정적이며 위성원격탐지 정보접수 및 운영의 일체화를 달성했다. 과학기술부는 소위성을 이용한 다음과 같은 응용연구를 지원했다. 토지이용, 지질조사, 수자원조사, 홍수재해, 겨울철 보리파종 면적계산, 삼림유형식별, 도시계획, 고고학 등의 연구를 지지했다.
소위성은 연구제작, 발사 및 운영체계, 메커니즘에 독창성을 가져왔다. 시장 메커니즘 및 조작을 실시하여 국제화 수준에서 국내외 연구단체를 선정하며 최단최적의 방식으로 소위성의 연구제작, 발사 및 운영을 진행할 것이다.
소위성는 사회, 수도, 올림픽을 위한 서비스 제공에 적극적으로 사용될 것이다. 중앙 정부기관의 정책결정, 정부의 긴급상황, 중대한 재난 등을 위하여 우선적으로 무료 데이터서비스를 제공한다. 현재 소위성 및 지면 시스템은 서비스 운행조건이 구비되어 있다.
“북경1호” 소위성의 무게는 166.4kg이고 궤도 높이는 686km이고 중, 고 해상도의 원격 탐지 장비가 설치되어 있으며 고시간 해상도, 고공간 해상도 및 폭넓은 관측범위 등 특징을 갖고 있다. 4m해상도, 24km폭 관측범위, 이는 현재 중국 국내 민용 원격탐지 위성에서 최고 해상도이다. 해상도는 32m, 관측범위는 600km이다. 이 관측범위는 세계동등 해상도에서 가장 넓다.
소위성는 2005년10월27일 러시아 Plesetsk 위성발사 기지에서 성공적으로 발사되었다.
몇 달의 궤도 시험, 시범 운행을 거쳐 위성시스템, 관측제어시스템 및 지상시스템 등 각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되었고 성능이 양호하며 운행이 안정적이며 위성원격탐지 정보접수 및 운영의 일체화를 달성했다. 과학기술부는 소위성을 이용한 다음과 같은 응용연구를 지원했다. 토지이용, 지질조사, 수자원조사, 홍수재해, 겨울철 보리파종 면적계산, 삼림유형식별, 도시계획, 고고학 등의 연구를 지지했다.
소위성은 연구제작, 발사 및 운영체계, 메커니즘에 독창성을 가져왔다. 시장 메커니즘 및 조작을 실시하여 국제화 수준에서 국내외 연구단체를 선정하며 최단최적의 방식으로 소위성의 연구제작, 발사 및 운영을 진행할 것이다.
소위성는 사회, 수도, 올림픽을 위한 서비스 제공에 적극적으로 사용될 것이다. 중앙 정부기관의 정책결정, 정부의 긴급상황, 중대한 재난 등을 위하여 우선적으로 무료 데이터서비스를 제공한다. 현재 소위성 및 지면 시스템은 서비스 운행조건이 구비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