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공공 R&D 프로그램에서 프로젝트 사례 연구로부터 포트폴리오 분석까지 연계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국립표준기술연구소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06-05-04
  • 등록일 2006-06-15
  • 권호
본 논문은 개개의 프로젝트 및 프로젝트 포트폴리오 둘 다 평가하기 위해 사례 연구의 방법에 근간을 두어, 프레임워크를 제공하고 있다. 본 논문은 장기간의 효과를 측정하기 앞서 중기간 동안 공공 R&D 프로그램을 평가하는 데 있어 새로운 역량을 갖도록 해주는 전형적인 평가 도구를 소개한다. 프로그램 평가를 위해 향상된 방법들이 필요하다. ATP와 같은 공공 R&D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행정관들은 지휘 시간이 길고, 여러 경로에 영향을 끼치며, 프로그램 목표가 여러 개로, 자체의 프로젝트 포트폴리오를 관리할 좀 더 효율적인 도구를 필요로 한다. CPRS는 전반적인 진전을 다음과 같은 3차원으로 보여주기 위해 선정된 지시자 메트릭스들을 결합하도록 설계됐다: (1) 국가의 과학기술 지식 기반에 추가함 (2) 지식을 퍼트림 (3) 개발한 테크놀로지에서 나온 새롭고 개선된 제품 및 프로세스를 상업화 함 ‘프로젝트에서 포트폴리오로’ 접근 방법을 시행하면, 만능의 평가 자원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상호 연결된 정보의 수준들을 생산하게 된다. 여러 제한에도 불구하고, CPRS는 전반적인 포트폴리오 성과를 부각시킬 수 있는 손쉬운 관리 &통신 도구를 제공한다. CPRS는 현황 보고서 (미니 사례의 연구) 작성과 연계해 완료한 최초의 ATP 프로젝트 50개를 이용하여 2000-2001년 사이에 개발됐다. 그 이후, ATP의 경제평가국에서는 CPRS 등급을 산정하여 100개의 추가 현황 보고서를 통해 발표했다. <목차 designtimesp=5413> 요약 도입 Part I. 개별 프로젝트에 대한 평가를 프로젝트 포트폴리오에 대한 평가와 연결하는 프레임워크 1. ‘프로젝트에서 포트폴리오로’ 접근 방법 개발 1.1 다단계 분석 역량 1.2 프레임워크 개발에 포함된 단계 1.3 그 결과 생산된 평가성 제품 2. 상기 접근 방법을 사례 연구에서 파헤쳐 낼 때 득과 실 2.1 사례 연구의 장점 2.2 사례 연구의 단점 2.3 사례 연구, 중요한 연구 도구인가? 3. ‘프로젝트에서 포트폴리오로’ 접근 방법에 대한 ATP의 개발 및 사용 3.1 모든 완성된 프로젝트에 대해 통일 데이터 수집을 이용한 미니 사례 연구 3.2 ATP의 제 1 차 현황 보고서의 발표 3.3 ATP의 제 2 차 현황 보고서의 새로운 특징 Part II. 복합 성과 등급 체계 (CPRS)의 개발 및 적용 4. 복합 등급을 사용한 우선적 시행 4.1 참가자가 규제 요건을 충족시키는 지의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미국 교육부가 실시하는 복합 점수 채점 4.2 OECD 국가의 보건 성능을 개선하도록 제안된 복합 점수 채점 4.3 병원 성능에 대한 복합 점수 채점 4.4 투자자 주식 등급 용 복합 점수 채점 4.5 전체 S&T 혁신 프로세스에 대한 복합 점수 채점 4.6 우선 시행에 대한 검토 결과 5. CPRS 개발: 처음 단계들 5.1 CPRS 일반 형성 5.2 CPRS 개발을 위한 사명 추구의 목표 정의 5.3 ATP의 CPRS 구축에 있어 데이터 제약 6. CPRS 형성에서 사용할 지시자 변수의 지정 6.1 지식 창출의 진전을 나타내는 변수 6.2 지식 분배의 진전을 나타내는 변수 6.3 상업화 진전을 나타내는 변수 7. 가중 알고리즘을 선정된 지시자 변수에 적용하고 점수를 산정 7.1 지식 창출 점수 채점 7.2 지식 분배 점수 채점 7.3 상업화 진전 점수 채점 7.4 복합 점수 채점 및 별 등급 8. CPRS 비평 8.1 데이터 한정 8.2 방법론적 이슈 8.3 부정확한 조치 9. 요약 및 결론 경제평가국에 관해 고급기술프로그램에 관해 참고문헌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