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중국, 국가 차원의 16가지 중점 광물질 탐사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chemnet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06-06-19
  • 등록일 2006-06-20
  • 권호
날로 심각해지는 광물자원 고갈 문제에 직면하여 중국 지질 광물 탐사 작업은 16가지 중점적인 광물 종류,16지역 광물 형성 지대,11개 중점 석유 매장 분지,13개 대형 석탄 매장 지대를 둘러싸고 집중적으로 투입하여 각 분야 전문가들이 공동으로 광물을 찾는 작업을 시작하고 있다.

2006년 6월 17일 중국 하남성 정주(鄭州)시에서 열린 "중국을 일으키는 광물 자원 보장 문제 해결 학술 연구회"에서 중국 지질조사국(http://www.cgs.gov.cn/, 주소:武漢洪山區魯磨路388號, 전화:+86-27-87482787, 팩스:+86-27-87483301) 국장 Meng Xianlai(孟憲來)은 경제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한 중국 광물 자원 상황의 심각성은 경제 지속 발전의 장애물이 되고 있다고 말하였다. 어떤 주요 광물 자원의 저장 용량이 제품 증가의 수요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예를 들면 중국의 석유 채굴과 저장량의 비는 세계 주요 석유 생산국의 수준보다 훨씬 낮다.

중국의 자원 종합 매장량은 세계 3위를 차지하고 광물 형성 조건이 유리하며 주요 광물 자원의 전반 탐사 정도는 겨우 1/3 밖에 되지 않으며 광물을 찾는데 아직 큰 잠재력이 필요하다. 이런 의미에서 국가적으로 국토 자원 센터 및 중국 지질 조사국의 최근 조사에 의해 광물 자원을 찾는 방향과 중점이 확립되었다. 전국 광물 탐사 작업은 석탄, 석유, 알루미늄, 납, 아연, 금 등 주요 광물질을 둘러싸는 광물질 형성 지대를 중점적으로 찾아내는 것이다.

Meng Xianlai는 전국 특히 중국 중부 동부 지역의 광물 탐사 지역은 얕은 데로부터 깊은 데로 늘어졌으며 탐사 기술의 요구도 날로 높아지고 있다고 말하였다. 그러므로 광물 탐사의 새로운 돌파를 실현하려면 반드시 지질 기술 혁신을 대량으로 높여야 하고 중요하고 관건적인 문제를 둘러싸고 과閨茱?난관을 돌파해야 하며 광물 형성 이론을 연구함으로써 탐사, 채굴하는 관건적인 기술을 자주적으로 혁신할 필요성을 제기했다.

* kosen21 참조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