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EU, 2006년도 산림 행동계획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유럽연합(EU)
- 생성기관 유럽연구개발정보서비스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06-06-16
- 등록일 2006-06-21
- 권호
* 소개
본 보고서는 유럽의회가 유럽집행위원회에 2006년도 EU 산림 행동계획을 제출하라는 요청을 받고 내 놓은 것이다. EU 회원국들과 긴밀한 공조를 통해, 그리고 이해관련자들과 협의를 거쳐 마련됐다.
* 전반적인 원칙
EU 산림행동강령의 전반적인 목표는 지속가능한 산림 경영 및 산림의 다기능적 역할을 지원하고 강화하는 것으로, 다음의 원칙에 기초하고 있다:
- 산림 관련의 국제 공약 이행에 적절한 프레임워크인 국가 산림 프로그램;
- 산림 정책에서 글로벌 이슈 및 부문 교차적인 이슈의 중요성이 커지는 가운데, 보다 강화된 응집력 및 조정을 요함;
- EU 산림 부문의 경쟁력 및 우수한 EU 산림 거버넌스를 강화할 필요성;
- 부속(subsidiarity) 원칙의 존중.
* 목표
EU 산림 행동 계획을 준비하는 동안, 집행위원회와 회원국들은 산림 관리에 대한 공통된 비전 및, 산림과 산림 관리가 현대 사회에 기여하는 공헌에 대한 공통된 비전을 내놓았다:
“사회를 위한 산림: 현재와 미래의 사회적 필요를 이행하고, 산림과 관련된 생계를 지원하는 장기적인 다기능 산림 관리”
상기 비전에 따라, 산림 행동계획은 네 가지의 주요 목표를 추구한다:
- 장기적으로 경쟁력을 향상시킴;
- 환경을 개선하고 보고함;
- 삶의 질에 기여함;
- 조정과 커뮤니케이션을 육성함.
5개년 행동계획(2007-2011)은 핵심 행동 한 조로 구성돼 있는데, 집행위원회는 회원국들과 합동으로 이행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자체의 특정한 조건 및 우선사항에 따라 회원국들이 실행할 수 있는 추가 행동에 대해서도 지적하고 있는데, 이행 시 국가적 기구의 설치를 요하긴 하지만 기존의 공동체 기구의 지원을 받도록 제안하고 있다.
* 평가
상기 행동계획은 5년간(2007-2011) 펼쳐질 것이다. 중간 평가는 2009년에 있게 되며, 최종 평가는 2012년에 시행될 것이다.
<목차>
1. 머리말
2. 개괄적인 원칙과 목표
3. 행동지침
3.1 장기 경쟁력 개선
3.2 환경 개선과 보호
3.3 삶의 질에 기여
3.4 협조와 대화 촉진
4. 평가
본 보고서는 유럽의회가 유럽집행위원회에 2006년도 EU 산림 행동계획을 제출하라는 요청을 받고 내 놓은 것이다. EU 회원국들과 긴밀한 공조를 통해, 그리고 이해관련자들과 협의를 거쳐 마련됐다.
* 전반적인 원칙
EU 산림행동강령의 전반적인 목표는 지속가능한 산림 경영 및 산림의 다기능적 역할을 지원하고 강화하는 것으로, 다음의 원칙에 기초하고 있다:
- 산림 관련의 국제 공약 이행에 적절한 프레임워크인 국가 산림 프로그램;
- 산림 정책에서 글로벌 이슈 및 부문 교차적인 이슈의 중요성이 커지는 가운데, 보다 강화된 응집력 및 조정을 요함;
- EU 산림 부문의 경쟁력 및 우수한 EU 산림 거버넌스를 강화할 필요성;
- 부속(subsidiarity) 원칙의 존중.
* 목표
EU 산림 행동 계획을 준비하는 동안, 집행위원회와 회원국들은 산림 관리에 대한 공통된 비전 및, 산림과 산림 관리가 현대 사회에 기여하는 공헌에 대한 공통된 비전을 내놓았다:
“사회를 위한 산림: 현재와 미래의 사회적 필요를 이행하고, 산림과 관련된 생계를 지원하는 장기적인 다기능 산림 관리”
상기 비전에 따라, 산림 행동계획은 네 가지의 주요 목표를 추구한다:
- 장기적으로 경쟁력을 향상시킴;
- 환경을 개선하고 보고함;
- 삶의 질에 기여함;
- 조정과 커뮤니케이션을 육성함.
5개년 행동계획(2007-2011)은 핵심 행동 한 조로 구성돼 있는데, 집행위원회는 회원국들과 합동으로 이행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자체의 특정한 조건 및 우선사항에 따라 회원국들이 실행할 수 있는 추가 행동에 대해서도 지적하고 있는데, 이행 시 국가적 기구의 설치를 요하긴 하지만 기존의 공동체 기구의 지원을 받도록 제안하고 있다.
* 평가
상기 행동계획은 5년간(2007-2011) 펼쳐질 것이다. 중간 평가는 2009년에 있게 되며, 최종 평가는 2012년에 시행될 것이다.
<목차>
1. 머리말
2. 개괄적인 원칙과 목표
3. 행동지침
3.1 장기 경쟁력 개선
3.2 환경 개선과 보호
3.3 삶의 질에 기여
3.4 협조와 대화 촉진
4.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