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2006년도 지적기반 정비 목표 재검토(안) 원문보기 1
- 국가 기타
- 생성기관 경제산업성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06-06-26
- 등록일 2006-06-28
- 권호
<재검토의 배경>
지적기반 정비특별위원회에서는 1998년부터 5회에 걸쳐 정리를실시, 지적기반의 자리매김과 대처의 기본적 방침을 내세움과 동시에 각 분야에 해당정비를 진행해가기 위한 구체적 방책을 제시해 왔다.
2006년에 각의 결정된 제3기 과학기술기본계획에서는 지적기반에 대해 양적 관점만이 아닌, 이용자 니즈에의 대응 정도와 이용빈도라는 질적 관점을 지표로 한 정비를 실시하도록 지적기반 정비계획을 재검토, 선택과 집중을 바탕으로 2010년에 세계 최고수준을 지향하여 중점정비를 해나가도록 하고 있다.
10년 계획의 중간시점이므로 지금까지의 지적기반 정비의 성과 및 사회정세의 변화, 기술진보, 산업계 니즈 등을 통해 정비목표의 재검토를 실시한다.
<목차 및 내용>
2006년도 재검토 배경
(각 절)
1. 계량표준
2010년까지 해당분야의 세계 최고수준의 규모 및 질적 향상을 목표로 NMIJ를 중핵으로 생물표준 250종류 정도(2005년, 약 180종류), 표준물질 250 종류 정도(2005년, 약 180종류)의 정비를 목표로 함.
2. 지질정보
-정밀도 높은 지질정보의 중요성-사회 니즈에의 대응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공개-정보화 사회에의 대응
3. 화학물질 안전관리
화학물질 종합관리를 위한 지적기반은 현재의 안전확보를 위할 뿐 아니라 장래의 세대에 건강하고 안전한 사회를 이어나가기 위해 중요함.
-개별 화학물질에 대한 정보수집, 정비
-리스크 평가방법의 개발
-내분비교란물질(환경호르몬)문제에의 대응
4. 생활안전
-인간특성 데이터베이스의 정비
-인간특성의 계측, 평가방법의 개발
-제품사고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유지, 갱신, 제공
-안전평가방법의 개발 및 관계기술 데이터의 정리, 제공
-계층적 제품안전규격 체계의 구축
5. 생물 유전자원 정보
-생물 유전자원의 수집, 보존, 제공
-미생물의 게놈 해석
-리스크 평가, 관리
6. 재료
-유리분야: 유리 조성물성 데이터베이스의 정비, 시험 평가방법의 개발
-파인세라믹스 분야: 물성 데이터베이스의 정비, 시험 평가방법의 개발
(각 항)
(1) 2010년을 향한 목표
(2) 정비의 우선순위 및 방향성
(3) 정비체제 사고
(4) 관계부처와의 제휴
(5) 국제적 추진의 시점
용어해설
지적기반 정비특별위원회에서는 1998년부터 5회에 걸쳐 정리를실시, 지적기반의 자리매김과 대처의 기본적 방침을 내세움과 동시에 각 분야에 해당정비를 진행해가기 위한 구체적 방책을 제시해 왔다.
2006년에 각의 결정된 제3기 과학기술기본계획에서는 지적기반에 대해 양적 관점만이 아닌, 이용자 니즈에의 대응 정도와 이용빈도라는 질적 관점을 지표로 한 정비를 실시하도록 지적기반 정비계획을 재검토, 선택과 집중을 바탕으로 2010년에 세계 최고수준을 지향하여 중점정비를 해나가도록 하고 있다.
10년 계획의 중간시점이므로 지금까지의 지적기반 정비의 성과 및 사회정세의 변화, 기술진보, 산업계 니즈 등을 통해 정비목표의 재검토를 실시한다.
<목차 및 내용>
2006년도 재검토 배경
(각 절)
1. 계량표준
2010년까지 해당분야의 세계 최고수준의 규모 및 질적 향상을 목표로 NMIJ를 중핵으로 생물표준 250종류 정도(2005년, 약 180종류), 표준물질 250 종류 정도(2005년, 약 180종류)의 정비를 목표로 함.
2. 지질정보
-정밀도 높은 지질정보의 중요성-사회 니즈에의 대응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공개-정보화 사회에의 대응
3. 화학물질 안전관리
화학물질 종합관리를 위한 지적기반은 현재의 안전확보를 위할 뿐 아니라 장래의 세대에 건강하고 안전한 사회를 이어나가기 위해 중요함.
-개별 화학물질에 대한 정보수집, 정비
-리스크 평가방법의 개발
-내분비교란물질(환경호르몬)문제에의 대응
4. 생활안전
-인간특성 데이터베이스의 정비
-인간특성의 계측, 평가방법의 개발
-제품사고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유지, 갱신, 제공
-안전평가방법의 개발 및 관계기술 데이터의 정리, 제공
-계층적 제품안전규격 체계의 구축
5. 생물 유전자원 정보
-생물 유전자원의 수집, 보존, 제공
-미생물의 게놈 해석
-리스크 평가, 관리
6. 재료
-유리분야: 유리 조성물성 데이터베이스의 정비, 시험 평가방법의 개발
-파인세라믹스 분야: 물성 데이터베이스의 정비, 시험 평가방법의 개발
(각 항)
(1) 2010년을 향한 목표
(2) 정비의 우선순위 및 방향성
(3) 정비체제 사고
(4) 관계부처와의 제휴
(5) 국제적 추진의 시점
용어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