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중국, 세계 경쟁력 보고중 2005년 핀란드의 과학기술의 국제화 및 중요 계획 및 통계 원문보기 1

  • 국가 핀란드
  • 생성기관 중국과학기술정보연구소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06-06-27
  • 등록일 2006-06-29
  • 권호
2006년《전세계 과학기술 경제 전망》에서 핀란드는 세계 경제 포럼《전세계 경쟁력의 보고》에서 가장 경쟁력을 갖는 국가로 선정되고,《세계 정보 기술의 보고》중에 제3위를 차지했다. 유럽연합이 진행한 정부 온라인 서비스의 조사 중, 핀란드도 제3위를 차지하였으며 핀란드 무역공업부가 진행한 핀란드 경쟁력 평가도 주요 경쟁 상대보다 우수하다고 평가되었다.

핀란드 정부는 2006년 재정연도의 예산 총액이 395억의 유로화로 2005년보다 4.4%가 늘어났고 이 중 경제성장을 촉진시키기 위해 연구개발 자금지원에 대해 8300만의 유로화를 늘려 2005년보다 6% 늘어난다. 2006-2007의 재정도, 무역공업부의 연구개발의 지출이 3000만의 유로화를 늘렸다. 핀란드 과학원 연구 자원금액이 1970만의 유로화로 늘렸다.

1. 과학기술 분야의 중요 정책 동향-- 국제화와 구조 조정
(1)핀란드 과학기술의 국제화
2005년 2월 15일, 핀란드 과학기술 정책 위원회는 《핀란드 과학기술의 국제화》 를 선포하고, 최신 연구 전략을 추진한다. 국제화 전력의 목표는 다음과 같다. 지식과 경쟁력 기초를 공고히 하고 고품질 교육과 연구에 진입하고 생산과 기업 구조를 발전시켜 국제적 판매외 경영 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창조와 지식에 대한 이용을 강화해야 한다. 국제협력으로 핀란드 혁신 체계와 국제 과학기술의 발전과 창신의 집성을 강화한다. 연구 활동과 창신 체계 발전은 유럽 국가의 관계를 3가지(국제화 및 각종 국제 연구 협력을 촉진, 연구의 수량을 높인다)를 통일적으로 계획한다.

핀란드가 제출한 전략은 다음과 같다.
- 고품질의 연구와 창신에 창신 환경을 발전시키며 국제경쟁력을 강화한다.
- 적극적으로 외국인 투자,세계 수준의 기간시설,다국적 기업,외국 전문가,연구원과 학생을 유치
- 적극적으로 북쪽지역과 발트해 지역과 연구 협력을 강화한다.
- 체계적 연구 방향과 목표를 분명히 하고 내부 연구의 지위를 향상시키고 연구 자금지원을 증가
- 유럽연합의 행동은 다변한 네트워크, 협력 및 신지식 발생, 확산, 응용과 실시를 촉진시킨다.
- 상업용 기업은 유럽연합이 협력 및 성과에 참여하도록 하고 연구 개발에 적극 참여토록 격려
- 고품질 기초 연구의 지위를 향상시키고 및 재정지원을 한다.

핀란드가 무역공업부,국가 기술국과 핀란드 무역촉진회가 연합하여 채택한 필요 조치
- 장기간 공공 연구의 자금지원을 증가, 지속적 교육에 투입, 지식 기초와 기간시설을 다원화
- 연구 체계의 정도를 분산하고, 국제협력을 진행한 연구를 증가한다.
- 체계적으로 1개의 국제경쟁력을 가진 고품질 지식 기초 및 핀란드 실력을 발전시키고 동반자 협력을 한 전제 조건을 개선한다.
- 교육, 과학, 기술과 창신의 정책은 모두 국제화와 연관된 여러 방면을 고려해야 한다.
- 핀란드 연구개발과 혁신 내부 네트워크화를 촉진, 국제협력 중에 연구 분야 내부 사이의 네트워크화 촉진
- 국제화 촉진시킨 과정에서 정부 및 기타 공공 부문이 주도를 하고 부문 사이의 협력을 강화
- 국제협력과 기술이전에 대한 장애와 제한을 제거한다

(2)공공 연구의 체계의 구조적 조정
핀란드 정부는 4월 7일에 결의하고 공공 연구의 체계에 대해 구조적 조정을 진행하였다. 주요 결의 내용은 핀란드 과학기술 정책 위원회가 과학,기술과 창신 정책을 주도하고 중요 문제를 다룰 전문가 그룹을 확대할 것을 요구하였다. 이 기초에게 전체 방안을 편성하고핀란드 과학원과 국가 기술국에 대한 자금지원과 협력을 강화하도록 하였다. 핀란드 기술연구센타를 강화하도록 하는 것이다. 동시에 국제화 관련 중개기관이 서로 사이의 협력 및 공공 연구 기구와 네트워크화를 강화하도록 요구하였다.

2. 중요 과학기술 발전 동향
(1)기술 예측 관련 준비 : 2005년 핀란드 처음으로 체계적으로 과학기술 전망 활동을 진행한다. 핀란드 과학원과 국가기술국은 연합하여 2005년 9월에 이름이 FinnSight2015인 과학기술의 전망 항목을 시작하였다.
(2)국가 우선 과제 분야 선정 : 2005년 3월 핀란드 국가 기술국은 《희망을 걸어 창조 -- 미래에 우선 분야》를 선포하고, 핀란드 미래의 5 대 기술 중점 분야를 제안(정보 통신 기술, 생명공학, 나노기술, 재료 기술 및 상업 능력과 상업의 발전)

3. 첨단기술 분야, 우위 분야 발전 현황과 추세
핀란드는 Flash-OFDM 기술을 채택하여 하나의 새로운 디지털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2009년 9월에 완공 목표이고 이를 위하여 핀란드 정부는 Digita 회사가 네트워크를 확장하도록 인정하였다. 이는 세계 처음으로 대규모 이동통신 네크워크 채택 기술을 건설하는 것이다.

4. 중요 과학기술 발전 계획
(1)국가우주 전략 (2005-2007)
(2)에너지와 기후 전략을 비준
(3)환경과 법률 연구 계획(2005-2008년)
(4)상업비결 연구계획
(5)2005년 11월, 핀란드 과학원은 2006년에 5개의 새로운 연구 계획을 시작할 필요를 선포 나노 과학 연구 계획(900만 유로화),지속 가능한 생산과 제품 연구 계획(750만 유로화 지원), 영양,식품과 건강 연구 계획(핀란드 쿠웨이트의원에서 700만 유로화 지원), 핀란드 전력 연구 계획(700만 유로화 재정지원),약품 중독의 연구 계획(550만 유로화)를 지원한다.
(6)핀란드 나노기술 계획(FinNano2005-2009)
(7)모형화 모의 기술과 계획(MASI2005-2009)
(8)집성 네트워크 계획(GIGA2005-2010)
(9)걸출 교수 계획(FiDiPro)

5. 국제 과학기술 협력 계획 행동
(1)제2회 핀란드 천년 기술상
(2)유럽연합 제6회 계획
(3)유럽우주항공국 계획
(4)북유럽의 정보 통신 기술 계획(NORDITE2005-2010)
(5)신경계통 과학 연구 계획(NEURO2005-2009)
(6)핀란드 과학원은 2005년 8월에 인도 과학기술부와 생물 기술부와 협력의 협정에 서명
(7)핀란드 헬싱키시가 국제 과학원 협회 제13회 세계 대회 개최권을 갖는다.

6. 중요한 과학기술 통계수치
- 핀란드 2004년 연구개발(53억 유로화,GDP의 3.5%),핀란드 2005년(53.88억 유로화,GDP의 3.5%)를 점유하고 기업의 지출이 대략 37.70억 유로화(70%를 점유), 공공 부문이 5.38억 유로화(10%를 점유),고등 교육 부문에 10.80억 유로화(20%를 점유).
- 2005년 정부 연구 개발예산 (15.94억 유로화)은 정부 총지출의 4.5%를 점유한다.
- 2005년 무역공업부는 5.35억 유로화를 지출하여 연구개발 활동에 쓰임(국가 기술국 75.1%,기술연구센타 12.9%,지질조사국 7.6%를 분배, 기타 기술 개발 기관이 4.4%)
- 2006년은 기술과 햑신의 정책지원으로 신생기업과 신장형 기업 창립을 가속화 하도록 하였다. 960만 유로화를 지불하여 4대 에너지 기술 시험장을 건설한다. 또한 정부 정보화 사회를 위해서 50만 유로화를 지불할 계획이고, 공공관리의 부문에서 공용 온라인 신분식별 플랫폼 계획에 투입한다.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