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폴란드의 과학기술 현황 원문보기 1

  • 국가 폴란드
  • 생성기관 중국과학기술정보연구소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과학기술국제화
  • 원문발표일 2006-06-29
  • 등록일 2006-07-01
  • 권호
폴란드의 과학기술 현황을 정리하여 본다.

1. 과학기술 경비 지원 증가율이 낮아 예산 경비 지원의 원칙이 세웠다.
2003 년 폴란드 국가 과학기술 예산 경비가 28.17억의 즐로티(대략 7억달러에 상당함)이며 2002년과 기본적으로 같은 수준이다.2003년 폴란드 연구개발의 경비(R&D)의 총액이 대략 그 해 폴란드 GDP의 0.63%를 차지한다.

폴란드는 유럽연합 계획에 의하여 2010년 연구개발 경비가 GDP의 3% 에 이르러야 하지만 현재 국가 경제 상황과 재정 능력을 보면 이 목표를 실현하는데 상당히 큰 어려움이 있을 것이다. 제한된 자금이 가장 큰 효율을 얻기 위하여 폴란드 과학기술 주관부문에서는 국가 과학기술 예산경비를 분배할 때에 아래와 같은 원칙을 견지한다.

(1) 과학기술과 경제발전을 촉진시키기 위해서 상응하는 수준의 기초와 응용연구 경비를 확증해야 한다.
(2) 연구개발 작업을 통해 경제혁신과 경제경쟁능력을 촉진시킨다.
(3) 국가 예산 자금은 중대 과학 연구 프로젝트를 위해서 연구 경비의 보장을 제공한다.

2. 기술혁신작업은 일정한 성과가 있다.
기업 기술혁신 및 과학연구 성과의 응용과 보급을 격려하기 위해서 폴란드는 금융, 법률과 조직 등 일련의 조치를 취하였다.
(1) 기술혁신작업을 위해서 세무 특혜를 제공하였다. 기업은 연구개발경비,과학연구성과의 응용과 보급에 쓰이는 비투자성 지출을 생산경영 자본에 포함시킬 수 있다. 특허,생산허가증,방법 및 과학연구성과 응용의 투자는 세전 소득의 최대 50% 대체할 수 있다. 과학기술성과의 응용과 기술혁신에서 얻는 이윤은 3년 소득세를 면제한다. 기술 혁신을 실시한 기업은 3 년내에 납세율을 낮출 수 있다.
(2) 경제특구와 첨단기술 단지를 발전시킨다. 첨단기술을 발전시키고 기업 기술 진보를 촉진시키며 제품의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폴란드는 전국적으로 10 여개의 경제특구를 설립하였다. 현재 폴란드 전국에서 4개의 고기술단지가 있으며 4개의 대학과 과학 연구 기관이 비교적 집중 대도시에서 분포한다.
(3) 기술 자문 기관을 설립한다. 현재 폴란드는 300 여개의 기술 혁신 업무를 하는 중개 조직과 기구가 있으며 140 여개의 자문 훈련 기구, 20 여개 기술 양도와 혁신 센타, 60개의 지역성의 대출과 보증의 기구, 44개의 기업 부화기와 기술 센타가 있다.
(4) 과학기술혁신형 소기업을 설립한다. 최근, 폴란드 과학기술형 소기업이 대량으로 나타났디. 85%의 과학기술형 소기업은 과학기술과 경제기초시설이 발달한 대도시에 집중되어 있고 대부분 주식회사 형식이다. 이런 소기업들은 주로 의약, 생명공학, 화학공업, 신소재 및 전자와 정보기술 등 연관된 업무를 한다.
(5) 연구개발 기관에 대해 소유제 개정를 진행한다. 연구개발단위가 더욱 시장 경제의 원칙에 적응하고 과학기술과 경제의 결합을 촉진시키기 위해 폴란드 정부는 《과학연구개발 기관 소유제 개정법》를 제정 실시하고 있으며 국가 관련 부문은 사유화를 기다리고 있는 연구 기관에 대해 평가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6) 자본과 기술을 도입하여 경제와 기술혁신을 촉진시킨다. 근년에 폴란드의 외자와 합자기업이 과학 연구 개발에 쓰는 비용이 해마다 증가한다.

3. 과학기술 기초 시설이 개선 되었다.
10년간의 발전을 통해, 폴란드 과학 정보 기초시설은 이미 일정한 규모를 형성하였다. 지금까지, 과학기술 주 인터넷 NASK와 POL-34는 이미 건설되었고 각각 국외의 통로를 연결되어 도시넷도 이미 20개 도시에서 개통되었다. 현재 폴란드 과학 연구 단위 중 5개의 대형컴퓨터 센타가 전국을 위하여 대형 과학기술계산, 통신, 문서보존, 전국 혹은 지역성 데이타베이스, 오디오비디오 멀티미디어 및 특수 프로그래밍 등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2001년 정보화 사회 공정을 실시하기 시작하여 폴란드의 경제발전과 사회 진보를 크게 촉진하였다.

(1) 국가행정 관리기관의 정보 기초시설은 이미 기본적으로 건설되였으며 이것은 정부 부문의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직접 국가 관리기관의 직책과 작업 범위를 이해하는데 유익하고 정부와 사회의 소통을 강화하였다.
(2) 정보화 사회 공정을 실시하여 신속하게 정보를 재산에 바꿀 수 있고 경제발전을 촉진시킬 수 있다.
(3) 인터넷과 전자통신수단은 인류가 서로 더욱 편리하고 쉽게 연락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사람들의 생활 수준을 크게 향상시킨다.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