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산학관제휴 프로젝트 - 유저지향 로봇 오픈 아키텍쳐의 개발을 개시 원문보기 1
- 국가 기타
- 생성기관 산업기술종합연구소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06-06-27
- 등록일 2006-07-02
- 권호
<포인트>
-각 유저의 다양한 니즈에 대응하여 요소기능의 조합으로 간단하게 로봇이 개발 가능
-로봇 요소기능 모듈군의 규범, 스펙을 공개하여 유저 지향 로봇 아키텍쳐의 프레임 워크를 확립
-이 프레임워크의 사용으로 로봇개발에 모든 기업 참여가 가능해지고, 새로운 로봇산업 창출이 가능
<개요>
-독립행정법인 산업기술종합연구소(이사장, 요시가와 히로유키)는 2006년도 신규 산학관 제휴 프로젝트 “산업기술종합연구소 산업변혁 연구 이니셔티브”로서 금년 4월부터 3년간 “유저지향 로봇 오픈 아키텍쳐의 개발”실시를 결정함.
-이번 산업기술종합연구소가 채택한 여러 차세대 로봇의 원형 개발을 통해 로봇요소기술을 RT미들웨어로 이용가능한 로봇 기능부품으로 모듈화하고, 이들을 조합시켜 새로운 로봇제품이 효율적으로 개발가능한 환경을 마련하는 것. 이에 거액의 투자를 필요로 하는 로봇제품 개발이 소규모 투자로 실현 가능하도록 하여 로봇산업을 새롭게 창출하려는 시도임.
-또한 본 프로젝트에서 개발하는 로봇기술 모듈군과 그 규범과 스펙은 공개되므로, 다양한 기업이 각각의 용도에 대응하여 로봇 생산이 가능한 “유저지향 오픈 아키텍쳐(User Centered Robot Open Architecture (UCROA))”이 이용, 새로운 산업으로서의 로봇산업 창출이 목적.
<산업변혁 이니셔티브>
산업기술종합연구소는 2005년도부터 “지속적으로 발전가능한 사회구축”이라는 기본이념을 토대로 산업변혁 연구 이니셔티브를 실시함. 이는 신산업 창출을 위해 정면으로 대처한 산학관 제휴 프로젝트로, 기술시즈에서 새로운 산업에 이르는 명확한 시나리오를 통해 대형 예산을 투입함으로써 비교적 단기간에 눈에 보이는 성과를 내는 것을 특징으로 함. 초년도(`05년)부터 “의약제제 원료생산을 위한 밀폐형 전환 식물공장의 개발” 및 “지식순환형 서비스주도 아키텍처(AIST SOA)의 개발”의 2가지 과제를 실시하고 있음.
-2010년에 실용화 가능으로 큰 시장이 기대되는 차세대 로봇
1. 물류지원 로봇
2. 대인 서비스 로봇
3. 사이버네틱 휴먼(Cybernetic Human(인조인간))
-각 유저의 다양한 니즈에 대응하여 요소기능의 조합으로 간단하게 로봇이 개발 가능
-로봇 요소기능 모듈군의 규범, 스펙을 공개하여 유저 지향 로봇 아키텍쳐의 프레임 워크를 확립
-이 프레임워크의 사용으로 로봇개발에 모든 기업 참여가 가능해지고, 새로운 로봇산업 창출이 가능
<개요>
-독립행정법인 산업기술종합연구소(이사장, 요시가와 히로유키)는 2006년도 신규 산학관 제휴 프로젝트 “산업기술종합연구소 산업변혁 연구 이니셔티브”로서 금년 4월부터 3년간 “유저지향 로봇 오픈 아키텍쳐의 개발”실시를 결정함.
-이번 산업기술종합연구소가 채택한 여러 차세대 로봇의 원형 개발을 통해 로봇요소기술을 RT미들웨어로 이용가능한 로봇 기능부품으로 모듈화하고, 이들을 조합시켜 새로운 로봇제품이 효율적으로 개발가능한 환경을 마련하는 것. 이에 거액의 투자를 필요로 하는 로봇제품 개발이 소규모 투자로 실현 가능하도록 하여 로봇산업을 새롭게 창출하려는 시도임.
-또한 본 프로젝트에서 개발하는 로봇기술 모듈군과 그 규범과 스펙은 공개되므로, 다양한 기업이 각각의 용도에 대응하여 로봇 생산이 가능한 “유저지향 오픈 아키텍쳐(User Centered Robot Open Architecture (UCROA))”이 이용, 새로운 산업으로서의 로봇산업 창출이 목적.
<산업변혁 이니셔티브>
산업기술종합연구소는 2005년도부터 “지속적으로 발전가능한 사회구축”이라는 기본이념을 토대로 산업변혁 연구 이니셔티브를 실시함. 이는 신산업 창출을 위해 정면으로 대처한 산학관 제휴 프로젝트로, 기술시즈에서 새로운 산업에 이르는 명확한 시나리오를 통해 대형 예산을 투입함으로써 비교적 단기간에 눈에 보이는 성과를 내는 것을 특징으로 함. 초년도(`05년)부터 “의약제제 원료생산을 위한 밀폐형 전환 식물공장의 개발” 및 “지식순환형 서비스주도 아키텍처(AIST SOA)의 개발”의 2가지 과제를 실시하고 있음.
-2010년에 실용화 가능으로 큰 시장이 기대되는 차세대 로봇
1. 물류지원 로봇
2. 대인 서비스 로봇
3. 사이버네틱 휴먼(Cybernetic Human(인조인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