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이스라엘, 혁신형국가로서의 발전과정과 경험 원문보기 1

  • 국가 이스라엘
  • 생성기관 중국과학기술정보연구소
  • 주제분류 과학기술국제화
  • 원문발표일 2006-06-29
  • 등록일 2006-07-02
  • 권호
1. 이스라엘 과학기술 발전 국가 전략 및 정책 체계
1.1 이스라엘 국가의 전략
이스라엘은 생명공학과 나노기술을 국가의 과학기술 발전 전략으로 함과 동시에 기초시설 투입, 공업무역부의 연구개발의 자금지원 분야를 중요시한다. 2001년 이스라엘 정부는 《2000-2010년의 생명공학 산업의 계획》을 선포하고 2010 년에 생명공학 산업을 년간 50억$의 생명공학 회사와 30억$의 생명공학 제품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며 동시에 기타 관련 분야에서 약 150억$의 부가생산 수준을 대폭 향상시키는 것이다.

2010년까지 생명공학 분야에 작업자를 14만명에 달하며 정부,학교,사회에서 모금하여 9000만$를 투입하여 본고이안대학에 국가 생명공학 연구센터를 설립하고 공업무역부의 OCS와 NOFAR기술을 전문 지원하는 등 생명공학분야의 기초 연구개발을 시작하였다. 또한, 1억$를 투자하여 생명공학 부화기 2곳을 설립하였고 다른 1곳을 계획하고 있다. 생명공학 관련 기초시설을 확장하고 매 년마다 생명공학주간과 생명공학 연례회의(BioIsrael)를 전국 7개의 연구형 대학에서 개최한다.

2002년 9월 이스라엘의 과학과 인문 과학원에서는 《나노기술은 이스라엘 국가의 전략》을 목표로 하여 2003부터 2007까지 5년사이 나노기술 계획을 시행하고, 2007년에 대학에는 1억$의 기초시설 및 항목 경비 1500만$를 투입, 매년마다 40여명의 이 전문분야의 대학 졸업생,전문 학술논문 발표,100개 특허 신청하는 등을 계획하고 있다. 공업무역부 OCS는 이미 나노와 생명공학을 함께 국가의 전략 중점으로 삼아 나노기술 분야의 진전이 양호하며 특히 나노와 생명공학, 마이크로 전자 기술의 교차 분야에서 발전이 있다.

1.2 이스라엘의 과학기술 정책 체계
1.2.1 과학기술 제도
이스라엘 과학기술 제도는 다수 관리형으로서 과기부,공업무역부,국방부,농업부,위생부,교육부 등 부문 및 과학과 인문 과학원 등 기관이 공동으로 구성되었다. 현재 13개의 수석 과학자 사무실이 설치되어 있어 그 부문에 연관된 과학기술 활동을 조절하고 지도하며 여러 부문에서 각기 단독행하는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석 과학자 논단을 설립하여 과학기술 장관이 대표를 맡고 주요 기능은 과학기술 항목에서 중복 투입 혹은 삭제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정부의 부서간 과학기술 위원회 대표를 맡아 주로 정부의 거시적의 과학기술 연구를 조정한다. 지역 발전을 추진하기 위하여 과기부는 전국에 11개의 지역 연구개발 중심을 지원 설립하여 본 지역은 특수한 환경,농업,교육,여행 등 문제를 해결하는 것 책임지고, 어떤 중심에 상당히 강한 연구의 실력이 있다. 2002년 이래에 정부가 과학기술 정책 분야에 자문을 제공하기 위하여 국가의 연구 개발의 이사회(NCRD)를 설립하였다.
1.2.2 분류하여 연구한다 : 이스라엘은 R&D 를 실험실로부터 시장에의 3개의 부분으로 구성된 정체라고 정의하였다. 이 3개의 부분이 기초 연구, 전략 연구, 공업 연구이다.
1.2.3 기초연구 : 이스라엘의 과학 및 인문과학원의 과학 기금(ISF)과 기초 연구를 지원한다.
1.2.4 전략연구 (과학기술 정책 체계) : 전략 연구 혹은 과학기술 기초 항목이라고 하는데 2004년 50개의 과학기술의 기초 항목을 분배하고, 약 550만$ 경비를 지원하였다.
1.2.5 공업연구 : 공업 연구개발은 주로 공업무역부 수석 과학자 사무실(OCS)로부터 재정지원을 받는다. 또한, 개발을 성공한 항목은 판매액 비율에 따라 정부에 납부금을 상환해야 한다.
1.2.6 공업 연구개발의 자금지원 계획중 경쟁적 연구 및 개발 계획은 다음과 같다.
1) 공업 연구개발 계획 중의 가장 중요한 것은 경쟁적 연구와 자금 개발이다. 또한 공업무역부 과학기술의 투입의 주요 부분이다.
2) 기술 부화기 계획이며 창업 회사의 85%(매년의 15만$)의 자금지원을 할 수 있고, 부화의 기한이 2년이다.
3) 초기의 기본 자금 즉 TNUFA 계획. 즉 개인 창업가에게 자금지원을 제공, 제품의 원형을 건립시키는것을 도우며, 등록의 특허 및 상업 설계도 등이다.
4) 기본 자금 HEZNEK 계획
5) 일반 공동 연구와 개발 활동을 지원한다.
6) 국제 연구 개발 활동을 지원 : 이스라엘 공업 분야의 국제 연구개발의 협력은 모두 공업 연구개발 및 개발 센터(MATIMOP)를 통해 진행된다. 이것이 공업무역부 OCS의 부하의 기구이며 상응한 국제 연구개발 협력은 주로 쌍방의 연구개발의 자금지원 및 활동, 유럽연합 관련 과학기술 계획에 참여(FP6, 유레카계획),전세계 기업의 연구개발의 협력 구조등이다.

2. 이스라엘 국가의 혁신 체계
이스라엘 국가 혁신 체계는 기술혁신 기업을 주체로 하여 7개 연구형 대학,정부,연구 기관,혁신형의 비영리 기구(NPO) 및 벤처투자 기구에 종사하는 것 등이다.
2.1 지식 창신체계 : 정부에서는 대학과 연구 기구의 지식 창신성을 중요시한다.

2.2 기술 창신체계 : 대기업 연구개발 기관, 외국 기업으로 연구개발 센타, 대략 3000개 혁신 기업 회사에서 기술 창신의 주력군을 구성하여 기술성과를 상품 및 대량의 연구개발 활동에 종사하는 것으로 이전시킨다.

2.3 환경 체계를 지원한다.
2.3.1 행정 환경을 개선하고, 업무효율 분야를 향상시킨다.
2.3.2 과학기술정책법규 분야 : 정부에서《투자 촉진법》,《이스라엘 과학원법》,《이스라엘 고등 교육법》,《이스라엘 국가의 연구 개발과 이사회법》등 모두 과학기술과 연관된 새로운 법규를 제정하였다.
2.3.3 창신인재 건설분야 : 교육.고등교육.전국민 병역 제도.국외에서 이민
2.3.4 지적소유권보호 분야 : 이스라엘의 많은 회사에서는 주로 구라파시장에 초점을 맞추어 우선 먼저 각 지방에 신청의 특허를 신청하므로서 자신의 지적소유권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기업을 보호할 수 있는 법율환경을 제공한다.

2.4 과학기술투자금융 체계
2.4.1 많은 기업에서 자신의 연구개발의 부문에 상당히 많은 연구개발 투입을 한다.(이스라엘에서 기업자체에서 70%, 정부에서 20%를 분담하고 있다.)
2.4.2 외국 기업도 본토의 연구개발 센타에에 일정한 연구개발의 경비를 투입하고 그 성과를 다시 생산공장으로 이전하여 생산을 한다. (예,INTEL)
2.4.3 벤처투자
2.4.4 정부 과학기술 투입

2.5 과학기술성과 이전 시스템
과학기술 성과 이전 시스템은 국가 창신체계의 중요한 구성 부분이며 기술 이전 시스템, 과학기술성과 이전 기지 및 과학보급 기지로 전환하는 것이다.
2.5.1 기술이전 : 기업의 연구 성과는 주로 스스로 제품으로 만들거나 다른 기업으로부터 획득한것이다. 이 때문에 이스라엘에서 기술 이전을 주요하게 고등학교와 연구기관으로부터 기업으로 전환하는 것이다.(대학 연구 기관의 성과를 회사로 이전, 정부에서 과학기술 이전을 지원)
2.5.2 과학기술 성과 이전기지(예, 과학원과 공업단지 등)
2.5.3 과학기술보급기지 : 과기부에서 과학학원계획, 국민들이 풍부하개 과학을 이해하는 계획, 괴기박물관, 경비를 지원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