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전문가 분석자료 : 중국, 미래 20년 기술 Roadmap(중국어)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sciencep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06-07-04
- 등록일 2006-07-05
- 권호
1. 분석자 서문
21세기 한 국가의 장래가 그 나라의 과학기술 수준에 달려 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래서 미국, 일본, 유럽연맹 등 많은 나라들은 과학기술에 대한 정책을 최대한 효과적으로 집행하기 위해, 국가의 과학기술 상황을 체계적으로 평가하고, 예측하는 활동을 체계적으로 하고 있다. 중국도 이번에 ‘중국 미래 20년 기술예견연구’라는 제목으로, 국가의 과학기술에 대한 본격적인 평가서를 내놓았다. 중국이 13억의 인구대국이고, 큰 영토와 많은 자원, 그리고 거대하고 복잡한 경제 시스템을 가지고 있는 나라임을 생각할 때, 이러한 체계적 연구가 이제야 나왔다는 것은 많이 늦은 감이 있다. 하지만, 이번 조사가 국제수준에 비추어 손색이 없는 체계적이고, 규모있는 것임을 감안할 때,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특히 온 세계가 중국을 주목하고 있는 이 때에 이러한 객관적 자료가 나왔다는 것은 다른 국가들에 대해서도 상당한 의미를 가진다고 본다.
이번에 내놓은 보고서는 장기적인 준비과정 속에서 이루어진 대규모 프로잭트의 결과물이다. 이미 2000년에 기술예견에 대한 이론적인 연구가 시작되었고, 2003년 8월에 강력한 정부의 지원 가운데 본격적인 활동이 시작되었다. 그리고 2005년 말에 본 보고서가 완성되었다. 이 보고서는 “정보, 통신과 전자기술”, “에너지 기술”, “재료과학과 기술”과 “생물기술과 약품기술” 등 4개 영역에 대한 기술 예견 연구 결과라고 할 수 있는데, 주로 32개 기술 하부 영역의 409개 기술과제의 ‘중요성’, ‘예측 실현 시기’, ‘실현 가능성’, ‘현재 중국의 연구 개발 수준’, ‘국제적으로 앞선 국가’, ‘발전 제약 요소’를 분석했다. 총 350 페이지 정도의 분량으로, 총 9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1장은 기술예견 역사와 전망, 2장은 중국 미래 20년 기술예견 연구개요, 3장은 전반적인 소강(小康) 사회 건설을 위한 수요, 4장은 정보, 에너지, 재료와 생물영역발전추세, 5장은 델피(Delphi) 조사결과 종합분석, 6, 7, 8, 9장은 각 영역별로 델피조사결과와 분석이고, 그리고 마지막은 부록이다.
이 보고서에 대한 본인의 분석은 보고서의 차례를 따랐다. 하지만 6장에서 9장까지는 5장 안에 용해시켜 종합 분석하였다. 이는 연구의 결과와 분석을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배려다. 마지막에는 분석자 결론으로 마무리 했다. 별도로 보고서의 부록1에 ‘ 5.3 미래 20년 중국에 가장 중요한 기술과제’에 있는 표를 첨부하였다. 이 자료를 통해 미래 20년 중국에 가장 중요한 기술과제들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부록2부분에는 ‘5.4 기술 과제 실현 시기 예측’에 있는 표를 첨부하였다. 이 자료를 통해서 중국의 미래 가능 기술의 시기와 실현 정도를 가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2. 목차
분석자 서문
1. 기술 예견 발전 역사와 전망
2. 미래 20년 기술예견 연구 개요
3. 기본을 갖춘 사회 건설 수요
4. 정보, 에너지, 재료, 생물 분야 발전 추세
4.1. 정보, 통신과 전자 기술 영역 기술
4.2. 에너지 기술 영역의 발전 추세
4.3. 재료과학 및 기술 영역 발전 추세
4.4. 생물기술과 약물기술 영역 발전 추세
5. 델피 조사 결과 종합 분석
5.1. 델피(DelPhi)조사의 개요
5.2. 중국 미래 핵심 기술 세부영역
5.3. 미래 20년 중국에 가장 중요한 기술과제
5.4. 기술 과제 실현 시기 예측
5.5. 기술 과제 연구 개발 수준
5.6. 현재 기술 과제가 앞선 국가
5.7. 기술 과제 실현 가능성 및 발전 제약 요소
분석자 결론
3. 원문정보
중국 과학원 및 과기부 미래 20년(2020년까지) 기술 예견팀, 중국, 미래 20년 기술 Roadmap(중국어) 북경과학출판사 (http://www.sciencep.com), 2006년 1월
바로가기
* yes kisti 참조
21세기 한 국가의 장래가 그 나라의 과학기술 수준에 달려 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래서 미국, 일본, 유럽연맹 등 많은 나라들은 과학기술에 대한 정책을 최대한 효과적으로 집행하기 위해, 국가의 과학기술 상황을 체계적으로 평가하고, 예측하는 활동을 체계적으로 하고 있다. 중국도 이번에 ‘중국 미래 20년 기술예견연구’라는 제목으로, 국가의 과학기술에 대한 본격적인 평가서를 내놓았다. 중국이 13억의 인구대국이고, 큰 영토와 많은 자원, 그리고 거대하고 복잡한 경제 시스템을 가지고 있는 나라임을 생각할 때, 이러한 체계적 연구가 이제야 나왔다는 것은 많이 늦은 감이 있다. 하지만, 이번 조사가 국제수준에 비추어 손색이 없는 체계적이고, 규모있는 것임을 감안할 때,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특히 온 세계가 중국을 주목하고 있는 이 때에 이러한 객관적 자료가 나왔다는 것은 다른 국가들에 대해서도 상당한 의미를 가진다고 본다.
이번에 내놓은 보고서는 장기적인 준비과정 속에서 이루어진 대규모 프로잭트의 결과물이다. 이미 2000년에 기술예견에 대한 이론적인 연구가 시작되었고, 2003년 8월에 강력한 정부의 지원 가운데 본격적인 활동이 시작되었다. 그리고 2005년 말에 본 보고서가 완성되었다. 이 보고서는 “정보, 통신과 전자기술”, “에너지 기술”, “재료과학과 기술”과 “생물기술과 약품기술” 등 4개 영역에 대한 기술 예견 연구 결과라고 할 수 있는데, 주로 32개 기술 하부 영역의 409개 기술과제의 ‘중요성’, ‘예측 실현 시기’, ‘실현 가능성’, ‘현재 중국의 연구 개발 수준’, ‘국제적으로 앞선 국가’, ‘발전 제약 요소’를 분석했다. 총 350 페이지 정도의 분량으로, 총 9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1장은 기술예견 역사와 전망, 2장은 중국 미래 20년 기술예견 연구개요, 3장은 전반적인 소강(小康) 사회 건설을 위한 수요, 4장은 정보, 에너지, 재료와 생물영역발전추세, 5장은 델피(Delphi) 조사결과 종합분석, 6, 7, 8, 9장은 각 영역별로 델피조사결과와 분석이고, 그리고 마지막은 부록이다.
이 보고서에 대한 본인의 분석은 보고서의 차례를 따랐다. 하지만 6장에서 9장까지는 5장 안에 용해시켜 종합 분석하였다. 이는 연구의 결과와 분석을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배려다. 마지막에는 분석자 결론으로 마무리 했다. 별도로 보고서의 부록1에 ‘ 5.3 미래 20년 중국에 가장 중요한 기술과제’에 있는 표를 첨부하였다. 이 자료를 통해 미래 20년 중국에 가장 중요한 기술과제들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부록2부분에는 ‘5.4 기술 과제 실현 시기 예측’에 있는 표를 첨부하였다. 이 자료를 통해서 중국의 미래 가능 기술의 시기와 실현 정도를 가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2. 목차
분석자 서문
1. 기술 예견 발전 역사와 전망
2. 미래 20년 기술예견 연구 개요
3. 기본을 갖춘 사회 건설 수요
4. 정보, 에너지, 재료, 생물 분야 발전 추세
4.1. 정보, 통신과 전자 기술 영역 기술
4.2. 에너지 기술 영역의 발전 추세
4.3. 재료과학 및 기술 영역 발전 추세
4.4. 생물기술과 약물기술 영역 발전 추세
5. 델피 조사 결과 종합 분석
5.1. 델피(DelPhi)조사의 개요
5.2. 중국 미래 핵심 기술 세부영역
5.3. 미래 20년 중국에 가장 중요한 기술과제
5.4. 기술 과제 실현 시기 예측
5.5. 기술 과제 연구 개발 수준
5.6. 현재 기술 과제가 앞선 국가
5.7. 기술 과제 실현 가능성 및 발전 제약 요소
분석자 결론
3. 원문정보
중국 과학원 및 과기부 미래 20년(2020년까지) 기술 예견팀, 중국, 미래 20년 기술 Roadmap(중국어) 북경과학출판사 (http://www.sciencep.com), 2006년 1월
바로가기
* yes kisti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