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한중일 과학기술정책 세미나 2006” 개최 보고서 원문보기 1
- 국가 기타
- 생성기관 과학기술정책연구소
- 주제분류 과학기술국제화
- 원문발표일 2006-06-06
- 등록일 2006-07-06
- 권호
본 보고서는 일본 도쿄항구(東京港区) 미다(三田)공용회의소에서 2006년 1월23일~24일 양일에 걸쳐 개최된 세미나로, 6월6일에 과학기술정책연구소에서 정리한 최종 보고서이다. (3월에 중간보고서)
동아시아지역은 그 발전이 두드러지고 있으며 북미, 유럽과 같이 세계 혁신중심지역의 하나로 자리매겨지고 있다. 경제적으로도 동아시아의 관계성은 한층 더 깊어지고 있으며 지식경제사회를 지탱하는 과학기술, 과학활동에 있어서도 상호교류가 더해가고 있다.
효율적인 혁신시스템을 구축해 나가기 위한 “과학기술정책연구”은 “국가전략의 나침반”으로, 중요한 연구영역으로 각국에서 그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그것을 담당하는 연구기관의 역할도 한층더 중요해지고 있다.
따라서 과학기술정책연구소는 동아시아의 중요국인 일본, 한국, 중국의 과학기술정책연구기관의 관계자가 함께 모여 각각의 과학기술정책혁신연구 추진에 대한 정보를 교환하고 서로의 입장에서 “과학기술인재”, “이해증진”, “지역혁신”, “과학기술예측”에 대하여 전문적인 입장에서 의견을 교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중일 과학기술정책 세미나 2006”을 2006년 1월23일, 24일 양일에 개최했다.
본 세미나는 당 연구소외에 중국의 국가과학기술부 중국과기촉진발전연구중심(NRCSTD), 중국과학원 과기정책여관리연구소(IPM), 한국의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과학기술평가계획원(KISTEP)의 각 소장과 각기관의 장래를 담당하는 연구자가 참가하여 의욕과 열정을 갖고 추진하는 각 테마에 대하여 유익한 발표, 의견을 교환하였다.
본 세미나의 개최가 각기관과의 페이스 투 페이스 관계를 구축하는 계기가 되어 본 세미나의 계속적인 개최를 비롯하여 교류확대 등 의미있는 제일보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본 보고서는 기초적인 자료로 세미나의 개요, 발표자료를 정리한 것이다.
목차
1. 서론
2. 프로그램
3. 개최결과개요
4. 각 발표자의 발표개요
5. 각 발표자의 발표자료
6. 한중일 과학기술정책세미나 2006 사무국
동아시아지역은 그 발전이 두드러지고 있으며 북미, 유럽과 같이 세계 혁신중심지역의 하나로 자리매겨지고 있다. 경제적으로도 동아시아의 관계성은 한층 더 깊어지고 있으며 지식경제사회를 지탱하는 과학기술, 과학활동에 있어서도 상호교류가 더해가고 있다.
효율적인 혁신시스템을 구축해 나가기 위한 “과학기술정책연구”은 “국가전략의 나침반”으로, 중요한 연구영역으로 각국에서 그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그것을 담당하는 연구기관의 역할도 한층더 중요해지고 있다.
따라서 과학기술정책연구소는 동아시아의 중요국인 일본, 한국, 중국의 과학기술정책연구기관의 관계자가 함께 모여 각각의 과학기술정책혁신연구 추진에 대한 정보를 교환하고 서로의 입장에서 “과학기술인재”, “이해증진”, “지역혁신”, “과학기술예측”에 대하여 전문적인 입장에서 의견을 교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중일 과학기술정책 세미나 2006”을 2006년 1월23일, 24일 양일에 개최했다.
본 세미나는 당 연구소외에 중국의 국가과학기술부 중국과기촉진발전연구중심(NRCSTD), 중국과학원 과기정책여관리연구소(IPM), 한국의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과학기술평가계획원(KISTEP)의 각 소장과 각기관의 장래를 담당하는 연구자가 참가하여 의욕과 열정을 갖고 추진하는 각 테마에 대하여 유익한 발표, 의견을 교환하였다.
본 세미나의 개최가 각기관과의 페이스 투 페이스 관계를 구축하는 계기가 되어 본 세미나의 계속적인 개최를 비롯하여 교류확대 등 의미있는 제일보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본 보고서는 기초적인 자료로 세미나의 개요, 발표자료를 정리한 것이다.
목차
1. 서론
2. 프로그램
3. 개최결과개요
4. 각 발표자의 발표개요
5. 각 발표자의 발표자료
6. 한중일 과학기술정책세미나 2006 사무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