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윌머트 교수, 영국의 동물복제정책 비판 원문보기 1

  • 국가 영국
  • 생성기관 BBC
  • 주제분류 과학기술문화
  • 원문발표일 2006-07-07
  • 등록일 2006-07-10
  • 권호
복제양 돌리를 만들어낸 연구팀의 일원이었던 이안 윌머트 (Ian Wilmut)교수는 영국이 더 이상 동물복제실험을 실행하지 않는 것에 대해 실망했다고 밝혔다. 바로 10년 전 핀 도어셋 양 (Finn Dorset)이 에딘버러 근처의 로슬린 연구소 (Roslin institute)에서 태어났다. 이 암양은 최초로 성체세포의 복제를 통해 만들어진 양으로 6세 된 암양의 유전적 복제품이었다. 영국에서 농장동물의 복제는 농업분야 연구비 감소로 인해 중단되고 있다. 윌머트 교수는 영국은 다시 한번 영국이 개발한 기술을 이용하는데 실패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BBC뉴스와의 되고 인터뷰에서 ‘영국과 같이 작은 나라가 국제적으로 엄청난 가치를 갖고 있는 과학적으로 무엇으로든 발전시킬 수 있는 어떤 것을 개발한다는 것은 매우 힘든 일이다. 그리고 이런 연장선상 속에서 이것이 과학을 발전시키는 것이다. 이 복제기술은 매우 중요한 것으로 상업적으로 일본과 미국 그리고 다른 국가들에서 여러가지 방안으로 개발되고 있다’라고 말했다.

돌리는 성체세포핵 이식이라는 기술을 통해 이루어졌다. 다양한 기술이 존재하지만 기본적으로 이 기술은 기증자의 세포에서 유전물질을 채취하여 DNA를 제거한 난자의 안에 삽입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 새로운 물질은 실험실에서 수정란으로 배양되어 대리모에 착상되어야 한다. 한 마리의 살아있는 건강한 복제동물을 만들기 위해서 많은 실험이 필요한 비효율적인 과정을 겪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초의 복제양 이후 실험쥐, 소, 돼지, 염소, 말, 토끼 심지어는 고양이와 개를 포함한 다른 동물들의 복제로 이어졌다. 이 기술은 원래 유전자 조작을 통해 의약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단백질을 우유형태로 생산할 수 있는 농장동물을 복제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소위 ‘파밍 (Pharming)’이라 불리는 과정은 현재 외국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래서 단순한 농장동물의 복제도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윌머트 교수 자신도 이 기술을 이용하여 인간의 운동신경세포질환 (motor neuron disease)를 앓고 있는 인간의 세포활동을 연구하려고 했다. 그는 이들 환자들에게서 무엇이 잘못되었는가를 알아냄으로써 미래에 가능한 치료법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보고 있다. 그는 ‘만일 질병을 갖고 있는 사람과 유전적으로 동일한 수정란을 만들어낸다면 이 수정란과 세포는 질병을 앓고 있는 사람의 특성을 알아낼 수 있을 것이다. 특별한 경우, 어떤 환자가 처음으로 질환의 증상을 보이기 시작한 시기에 해당하는 신경세포를 생산할 수도 있을 것이다. 현재 상태에서 그러한 세포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은 존재하지 않는다’라고 말했다.

복제기술의 인간생물학에 대한 적용은 지난 10년 동안 엄청난 논란을 불러일으켰지만 복제아기의 탄생이나 기적적인 치료방법의 발견과 같은 일은 일어나지 않았다. 복제에 관한 캠페인을 벌이고 있는 진와치 (GeneWatch UK)의 수잔 마이어 (Susan Meyer)박사는 ‘우리는 복제기술이 비효율적인 기술이라는 사실을 확실하게 알아내었다. 자주 이 기술은 잘못될 수 있으며 우리는 어떻게 세포가 변화하고 조직이 자라는가에 대한 지식을 얻었다. 하지만 우리는 개인화된 치료라는 널리 알려진 약속에 도달하지 못했다. 우리는 지금까지 너무 심하게 이 복제기술을 사용하지 않았는가에 대한 성찰이 필요한 때이다’라고 말했다. 돌리는 2003년 죽었으며 일상적인 폐질환으로 폐사되었다. 돌리는 박제화되어 에딘버러의 왕립박물관에 전시되었다. 국립 스코틀랜드 박물관의 앤드류 키치너 (Andrew Kitchener)는 BBC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우리가 박제화할 때 우리는 동물의 특성을 보이려고 했으며 우리는 특별한 모습을 보여주려고 했다. 돌리는 사면에서 모두 볼 수 있도록 전시되었으며 건초더미와 일부 양의 배설물과 함께 전시되었다. 돌리의 머리는 약간 왼쪽을 바라보고 있으며 박물관을 찾는 사람들을 바라보고 있다’라고 말했다.

* yes kisti 참조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