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중국, 국가 과학기술 연구비 사용에 대한 감독∙관리 강화 원문보기 1

  • 국가 기타
  • 생성기관 중국과학기술정보연구소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과학기술문화
  • 원문발표일 2006-07-10
  • 등록일 2006-07-11
  • 권호
7월 10일, 중국 과학기술부 상융(尙勇) 부부장(副部長,차관)은 베이징(北京)에서 “과학기술부는 현재 ‘과하기술 연구비 감독∙관리 센터’를 설립 계획하고 있다”며 “이 센터는 향후 국가 과학기술 프로젝트 시행 과정에 재무와 과학기술 연구비 사용효과에 대하여 관련 법에 따라 감독∙관리를 집행하게 된다”고 밝혔다.

상융 부부장은 “중국 과학기술부는 과학기술 연구비에 대한 감독∙관리 면에서 단계적으로 책임과 효익을 묻는 메커니즘을 구축하게 될 뿐만 아니라 과학기술 프로젝트 관리에 대한 전반 과정을 관리하는 통일된 정보 플랫폼, 과학기술 프로젝트 정보 공개 제도, 프로젝트 계약제도 완비 등을 통해 점차적으로 독립적인 평가제도 및 과학기술 연구비의 효과에 대한 평가체계 등을 구축하게 된다”고 지적했다.

과학기술 연구비 사용에 대한 감독∙관리 강화는 과학기술 프로젝트 관리 체계 개혁 중 중요한 내용에 속했다. 개혁을 통해 중국의 과학기술 기획은 기존의 프로젝트 지원 위주에서 점차적으로 프로젝트, 인재, 산업단지 등에 대한 통일적인 배치로 전환되었으며 기존의 기술 개발의 단일 목표에서 과학기술의 지속적인 혁신 능력 향상의 종합목표로 전환되었다.

또한 인재 양성과 산업 단지 건설을 프로젝트 논증과 평가의 중요한 지표로 삼았으며 프로젝트 실시와 능력 향상의 유기적인 결합을 강화했다. 현재 중국 정부는 과학기술 중대 프로젝트 실시를 통해 과학기술 인재 육성, 혁신 단지 건설, 지속적인 과학기술 혁신 능력 향상을 시도하고 있다.

상융 부부장은 “과학기술 행정부문은 앞으로 프로젝트에 대한 직접 관리를 대폭 감소하고 중국 과학기술 발전 방향 확정, 조화로운 발전, 서비스 제공, 감독∙관리와 유리한 환경 마련 강화 등에 주력하게 될 것이며 통일된국가 과학기술 정보 관리 플랫폼을 기반으로 전반 프로젝트에 관한 관리는 온라인 상에서 공정하고도 투명하게 진행하게 된다”고 강조했다.

* techtrend 참조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