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중국에 있어서 외국자본기업의 R&D활동과 일본계 기업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일본
- 생성기관 fri.fujitsu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06-07-07
- 등록일 2006-07-14
- 권호
2005년 국제연합조사에 의하면 해외 R&D거점이 입지해 있는 지역으로서 미국과 영국에 이어 중국이 3위를 차지하였으며, 앞으로 5년간 매력적인 지역으로서는 중국이 1위였다. 한편, 중국상무성 통계에 따르면 05년 7월 현재, 외국자본으로 설립된 연구개발거점은 750곳. 그러나 일본계 기업은 기술누설과 인재유출을 우려하여 본격적인 대중국 R&D활동은 삼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에 있는 다국적기업의 R&D활동실태를 명확히 하기 위해 현지에 설치되어 있는 일본, 미국, 유럽 기업 각 3사에 대해 케이스 스터디를 한 것이다.
연구결과, 중국 R&D진출 목적은 세 기업간 큰 차이가 없었지만, 구미기업은 중국시장전략과 일체화되어 있는 것에 반해, 일본계 기업은 R&D전략과 시장전략과의 연계가 약했으며 R&D센터 조직과 인사에 있어서는 현지화나 인재전략면에서 차이가 있었다.
또한, 각 R&D센터의 이직률은 수%~10% 전후로 높지 않고, 연구성과 권리화를 위한 적극적인 시책추진과 비밀보호제도도 정비하고 있었으며, 지적재산 피해나 이직에 따른 기술유출피해는 아직 확인된 것이 없었다.
현지조사를 통해 일본계기업에게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지적재산피해나 인재유출에 따른 기술누설문제는 심각하지 않으며, 생산•판매 등의 사업거점 문제점과 R&D거점이 직면한 과제를 혼동해서는 안된다.
•인재를 끌어들이기 위해서는 각 센터의 역할을 명확히 하고 그와 균형을 이룬 인재나 조직 전략이 필요하며 다른 학력의 소유자와 경험자의 조합 그리고 밝은 연구환경은 이직률을 저하시키기 위해 중요하다.
•예방책으로서 사람에 의한 감시보다도 제도적인 지적재산보호체제 확립이 필수적이다. ‘중국은 지적재산보호 실행성이 약하다’고 하는 선입견을 버리고 의연하게 사후대책을 강구한다면 공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현지에서의 산학연계를 목적화하지 말고, 코스트 퍼포먼스(Cost Performance)관점에서 연구성과 귀속전략을 계약에 확실히 반영시켜야만 한다.
<목차>
1. 문제 제기
2. R&D활동의 국제화 과속과 대상국으로서 중국 대두
2.1 다국적기업의 R&D활동 국제화 동향
2.2 가속화되는 중국에서의 R&D활동
3. 중국에 있어서 다국적기업의 R&D 활동 개요
3.1 중국에 있어서 다국적기업의 R&D 활동 전체상
3.2 중국에 있어서 다국적기업의 R&D 활동 가속화 배경
3.3 중국에서의 R&D활동 전개에 있어 일본계 기업이 가진 딜레마
4. 일본, 미국, 유럽 3기업의 대중국 R&D활동에 대한 케이스 스터디
4.1 대중국 R&D전개 전략과 목적
4.2 R&D 거점 조직과 인사전략
4.3 R&D 거점의 지적재산 매니지먼트
5. 일본계 기업에 대한 시사점
본 연구는 중국에 있는 다국적기업의 R&D활동실태를 명확히 하기 위해 현지에 설치되어 있는 일본, 미국, 유럽 기업 각 3사에 대해 케이스 스터디를 한 것이다.
연구결과, 중국 R&D진출 목적은 세 기업간 큰 차이가 없었지만, 구미기업은 중국시장전략과 일체화되어 있는 것에 반해, 일본계 기업은 R&D전략과 시장전략과의 연계가 약했으며 R&D센터 조직과 인사에 있어서는 현지화나 인재전략면에서 차이가 있었다.
또한, 각 R&D센터의 이직률은 수%~10% 전후로 높지 않고, 연구성과 권리화를 위한 적극적인 시책추진과 비밀보호제도도 정비하고 있었으며, 지적재산 피해나 이직에 따른 기술유출피해는 아직 확인된 것이 없었다.
현지조사를 통해 일본계기업에게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지적재산피해나 인재유출에 따른 기술누설문제는 심각하지 않으며, 생산•판매 등의 사업거점 문제점과 R&D거점이 직면한 과제를 혼동해서는 안된다.
•인재를 끌어들이기 위해서는 각 센터의 역할을 명확히 하고 그와 균형을 이룬 인재나 조직 전략이 필요하며 다른 학력의 소유자와 경험자의 조합 그리고 밝은 연구환경은 이직률을 저하시키기 위해 중요하다.
•예방책으로서 사람에 의한 감시보다도 제도적인 지적재산보호체제 확립이 필수적이다. ‘중국은 지적재산보호 실행성이 약하다’고 하는 선입견을 버리고 의연하게 사후대책을 강구한다면 공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현지에서의 산학연계를 목적화하지 말고, 코스트 퍼포먼스(Cost Performance)관점에서 연구성과 귀속전략을 계약에 확실히 반영시켜야만 한다.
<목차>
1. 문제 제기
2. R&D활동의 국제화 과속과 대상국으로서 중국 대두
2.1 다국적기업의 R&D활동 국제화 동향
2.2 가속화되는 중국에서의 R&D활동
3. 중국에 있어서 다국적기업의 R&D 활동 개요
3.1 중국에 있어서 다국적기업의 R&D 활동 전체상
3.2 중국에 있어서 다국적기업의 R&D 활동 가속화 배경
3.3 중국에서의 R&D활동 전개에 있어 일본계 기업이 가진 딜레마
4. 일본, 미국, 유럽 3기업의 대중국 R&D활동에 대한 케이스 스터디
4.1 대중국 R&D전개 전략과 목적
4.2 R&D 거점 조직과 인사전략
4.3 R&D 거점의 지적재산 매니지먼트
5. 일본계 기업에 대한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