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바이오이코노미 2030: 정책 의제의 설계 원문보기 1

  • 국가 국제기구
  • 생성기관 경제협력개발기구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06-06-21
  • 등록일 2006-07-20
  • 권호
2006년, 국제 미래 프로그램(International Futures Programme: IFP)은 바이오이코노미(bioeconomy)에 관하여 광범위한 대정부 정책 의제 초안을 제작하는 18개월 기간의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바이오이코노미는 새로 등장한 개념으로, 광범위한 경제 활동 범위를 다루며, 바이오과학의 새로운 발견, 관련 제품 및 서비스의 혜택을 입고 있는 활동에 대해서이다. 상기 프로젝트는 바이오테크놀로지 애플리케이션들이 어떻게 보급될 건지, 향후 2십년 내지 3십년 동안 어떤 발전이 추가로 진행될 것인지, 그리고 경제와 사회에 미칠 영향은 무엇인지 평가하게 된다.

다음 논문은 OECD 바이오이코노미 프로젝트가 의도하는 범위에 대해 설명한다.

제목: What is a Scoping Paper? - A Reader's Guide (요약)

(i) 상기 프로젝트는 OECD의 국제 미래 프로그램의 원조를 받아 (과학, 테크놀로지, 산업국의 바이오테크놀로지 부서와 공동으로) 운영된다.

(ii) 본 논문은 다음 4가지 질문의 답을 찾고자 한다:

a. 바이오이코노미를 실현하는 기회와 난관은 무엇인가?
b. 공공 정책은 상당한 영향을 끼칠 수 있는가, 또한 OECD 미래 프로젝트가 공공 정책에 영향을 끼칠 방법은 무엇인가?
c. 다른 곳에서 작업이 진행 중이라고 가정하고, OECD 미래 프로젝트가 만들어 낼 수 있는 부가가치는 무엇인가?
d. 관련 이슈들은 OECD의 권한에 속하는가, 또한 이 작업은 OECD의 주목적 및 우선사항에 도움이 될 것 같은가?

(iii) 본 논문은 상기 영역을 각각 다루고 있으며, 대화의 물꼬를 트기를 바란다.

목차

Scoping Paper란 무엇인가? - 독자를 위한 지침

I. 바이오이코노미 프로젝트
II. 기회와 난관
건강 부문
산업부문 및 환경 부문
농업 부문
에너지 부문
안보 부문
부문 간 공통 주제
III. 프로젝트 내역
프로젝트 접근 방법
IV. OECD 프로젝트가 제공하는 부가가치
OECD의 상대적 장점
V. OECD 목적 달성에 프로젝트가 기여하는 바

부록 1. OECD의 현행 바이오테크놀로지 관련 작업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