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프랑스 정부의 새로운 산업 정책 (경쟁력, 서비스 혁신, 기업 조직망, 테크노밸리, 경쟁거점) 원문보기 1

  • 국가 프랑스
  • 생성기관 경제산업고용부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06-06-12
  • 등록일 2006-07-29
  • 권호
대부분의 선진국들과 마찬가지로 프랑스 또한 세계화 차원의 경제적 변화 가속화에 직면했다. 프랑스는 갖가지 생산 요소들의 국제화로 그 모습을 나타내고 있지만 근본적으로는 재화와 서비스(경영, 마케팅)의 생산에 관한 혁신, 연구(두뇌), 기술 변화에 지속적으로 적응해 나감에 따라 프랑스라는 나라가 더욱 부각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산업적 결정을 위한 재정적 요소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재화와 서비스 비용이 적은 나라와의 경쟁을 확대함에 따른 결과이다.

<경제 강국으로서의 프랑스를 위한 산업 강국>
만약 부창출에 있어 서비스의 중요성이 더 이상 증명되지 않는다면, 산업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진다.

- 프랑스의 경쟁력과 나라 자체에 대한 매력
프랑스 수출의 반 이상은 고가품이다. 반대로 첨단 기술 상품은 공장 판매에 경제적으로 기여한다.

- 국가 경제 여분으로 인한 연동 효과
100유로를 생산하는데, 산업은 평균적으로 70유로의 재화와 서비스를 소비하며, 서비스는 40유로를 소비한다.

- 긴밀한 재화와 서비스 분야의 무역
2002년, 산업은 대외 무역의 염가 판매에 있어서 약 80% 가까이 그 역할을 다했다.

- 과학과 기술의 진보
더욱 그 영역이 확대된 유럽 연합 공동체의 테두리 안에서 새로운 산업 정책을 강구해야 하는 필요성이 바로 과학과 기술적 진보에 있다.


[목차]

10가지 질문, 토론

1. 탈공업화인가, 산업적 변화인가 ?
1.1. 탈공업화에 대해서보다 산업적 변화에 대해
1.2. 프랑스와 유럽의 실제 인원 변화
1.3. 지역 편중 해소에 대해서보다 국제화에 대해
1.4. 행운의 시대 : 국가 대부분에 있어 산업 확대
1.5. 산업적 변화에 직면하여, 정책은 경쟁 거점에 유리하게 작용

2. 산업 경쟁력 서비스에 대한 혁신과 연구
2.1. 유럽 내 프랑스의 과학적, 기술적 비중은 어떠한가 ?
2.2. 유럽 내 프랑스 지역들의 비중은 어떠한가 ?
2.3. 지역 내 과학, 기술의 경제적, 잠재적 발전
2.4. 프랑스 기업들은 개발 잠재력을 사용

3. 기업 조직망, 기업과 국가를 위한 경쟁력의 근원
3.1. 생산을 조직화하기 위한 새로운 방식
3.2. 유럽, 아시아, 아메리카... 세계를 통해 기업망이 형성
3.3. 기업망 형성과 발전을 위한 프랑스의 노력

4. 경쟁거점 정책 실행의 8가지 원칙
4.1. 경쟁거점을 어떻게 찾아내며, 개척하는가 ?
4.2. 수평적 협력을 장려하고 자원의 상호부조
4.3. 공동 개발에 인적 자원 참여 유도, 인적 자원의 참여를 확대
4.4. 산업적 연계와 연구, 산업과 교육을 강화하고 혁신 분야의 협력 장려
4.5. 창업과 일자리 창출 장려 : 기업 자본 요구에 부응
4.6. 교통 인프라 사용 위해 경쟁 거점 동반
4.7. 신유럽 차원에서 조직망 정책 장려
4.8. 공공, 민간 관계자들과 협력 프로젝트 인도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