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제 25호 과학위성(ASTRO-G)프로젝트 사전평가 결과 원문보기 1

  • 국가 기타
  • 생성기관 문부과학성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06-07-11
  • 등록일 2006-07-31
  • 권호
1. 평가 경위
우주개발을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우주개발위원회에서는 ‘우주개발에 관한 중요 연구개발 평가에 대해서’ 에 기초하여 중요 연구개발 평가를 실시, 그 결과를 공개하고 (독)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이하, JAXA라 함)가 실시하는 프로젝트 실시내용이나 실시체제 등에 관한 조언을 하기로 한다.
제 25호 과학위성프로젝트(이하, ASTRO-G 프로젝트라 함)는 JAXA가 2007년도부터 개발연구로 이행할 예정이기 때문에 2007년도 개산요구를 위해 우주개발위원회 추진부회에서 사전평가를 하였다.

2. 평가 항목
(1) 프로젝트 목적
(2) 프로젝트 목표
(3) 개발방침
(4) 실시체제
(5) 기타(시스템선정 및 기본설계요구, 개발계획, 위험관리)

3. 사전평가결과

(1) 프로젝트 목적
- 역사상 최고의 해상도로 은하와 별형성 영역의 중심부를 그려내는 물리상태를 해명하고, 세계의 연구자에게 스페이스 VLBI데이터 제공, 세계 천문학 발전에 공헌하고자 계획되었으며 이 목적은 일본이 추구하는 우주과학의 목적을 정확히 구체화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판정 : 타당)
(2) 프로젝트 목표
-‘하루카’보다 높은 주파수대를 이용한 관측을 통해 7배 고감도와 70마이크로초 이하의 고해상도 실현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는 설정된 목적에 비추어 정확하다고 판단된다. 다만, 성공기준은 개발연구단계에서 상세히 검토하여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판정 : 타당)
(3) 개발방침
-‘하루카’나 다른 위성 프로젝트에서 얻은 기존기술을 가능한 활용하여 신뢰성을 확보와 비용절감을 도모할 방침이며 본 프로젝트로 개발하는 신규기술은 ‘하루카’의 성과를 기본으로 고성능화를 위한 개발을 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프로젝트의 개발방침은 ‘위성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향후 대책에 대해서(2005년 3월 18일)’에 제시된 사항을 고려하고 있어 목표 달성을 위해 어느정도 정확하게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본 프로젝트처럼 학술연구를 주목적으로 하는 도전 프로젝트에 있어서도 신뢰성 확보는 중요하며 그를 위한 지상시험이나 해석 등 구체적인 방책에 대해 충분히 검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판정 : 어느 정도 타당)
(4) 실시체제
- 우주과학연구본부 아래에 ASTRO-G 프로젝트 팀을 설치하고 책임자를 중심으로 연구자와 관계부문과 연계하여 업무를 실시하는 체제이며, 현재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어 체제가 확립되어가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으나 위성개발기업과의 책임분담이 아직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개발이행단계까지 이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판정 : 어느 정도 타당)
(5) 종합평가
-추진부회는 이번 사전평가에서 ASTRO-G 프로젝트의 목적, 목표, 개발방침 및 실시체제 등에 대해 심의한 결과, 현행단계까지의 계획은 구체적이고 정확하다고 판단하였으며, 2007년도부터 개발연구로 이행하는 것은 타당하다고 사료된다.


* ASTRO-G 프로젝트 개요

본 프로젝트는 2005년 11월 운행을 종료한 제16호 과학위성‘하루카’의 후속으로 우주에서 VLBI(초장기선 간섭계)관측, 즉 스페이스 VLBI관측을 위해 계획된 전파천문위성이다.
이는 JAXA우주과학연구본부가 모집한 제 25호 과학위성 후보로서 제안되었고 복수 후보에 대해서 우주과학연구 커뮤니티 연구자로 구성된 우주이학위원회, 우주공학위원회 등에서 평가한 결과, ASTRO-G 프로젝트를 제 25호 과학위성에 대한 최적 계획으로 선정하였으며, 현재 2011년 발사를 목표로 2007년도부터 개발연구단계로 이행될 예정이다.

<목차>

1. 평가 경위
2. 평가 방법
3. ASTRO-G 프로젝트 개요
4. ASTRO-G 프로젝트 사전평가결과
참고 1 우주개발에 관한 중요 연구개발 평가에 대해서
참고 2 제 25호 과학위성 프로젝트 평가실시요령
참고 3 제 25호 과학위성 프로젝트 사전평가 추진부회 개최 상황
부록 1 제 25호 과학위성 프로젝트 평가표 집계 및 의견
부록 2 제 25호 과학위성 프로젝트 사전평가에 대해서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