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지구환경변동관측미션(GCOM) 수환경변동관측위성 프로젝트(개정판) 원문보기 1
- 국가 기타
- 생성기관 문부과학성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06-07-11
- 등록일 2006-08-04
- 권호
1. 목적
(1) 지구규모의 기후변동 ㆍ 수환경 메커니즘 해명을 위해 효과적인 물리량을 장기간 지속적으로 관측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이용, 실증한다.
(2) 위성으로 관측된 데이터를 다른 관측시스템 데이터나 모델데이터 등과 통합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형태로서 이용자에게 제공한다.
(3) 기후수치모델을 보유한 사용자 기관과 협조체제를 확립함으로써 국가 정책결정과 기후변동 예측시의 정밀도 향상에 기여한다.
(4) 기상예보, 어업정보제공, 해양로 정보관리 등을 하는 실이용기관에 데이터를 제공하여 현업분야의 재해 예방에 공헌 한다.
2. 목표
(1) 지속관측시스템의 구축과 13년간의 장기간 데이터셋팅을 통해 위성을 이용한 지구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이 기후변동과 수환경 메카니즘을 해명하는데 필수적인 사회인프라임을 실증한다.
(2) 이용자가 필요로 하는 형태로 관측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국제적인 공헌을 한다.
(3) 다른 관측 시스템 데이터와 융합하여 기후변동과 수환경 메커니즘 해명에 효과적인 신규 프로덕트를 생산함으로써 SCOM 프로덕트를 확충한다.
3. 개발방침
(1) 위성을 3번에 나눠 쏘아올리고 후속 위성과의 궤도상 운용기간을 약 1년간 중복시켜 양 관측센서를 비교 ㆍ 교정하면서 관측 데이터의 연속성을 확보한다.
(2) 위성시스템 개발시 신뢰성 확보를 최우선으로 하고 위성버스 개발은 기존의 기술을 최대한으로 활용하여 신뢰성 향상 및 비용절감을 도모한다.
(3) 관측센서 개발은 위성버스에 앞서 시험작동시험을 실시하여 위성전체 개발시의 리스크를 최소화 한다.
(4) GCOM-W는 GCOM-C와 공통성을 고려하여 설계한다.
4. 개발계획
자금계획은 다음과 같이 예상하고 있다.
GCOM-W1 위성 – 약 200억엔
GCOM-W1 용지상설비 개발 등 - 약 40억엔
5. 리스크 관리
(1) 위성개발에 관계된 리스크를 허용가능한 범위로 절감시키고 위성개발을 확실히 실행하기 위한 ‘GCOM위성 프로젝트 리스크관리 계획서’를 정리, 이에 기초하여 관리를 한다.
(2) 프로젝트 내부 구성원의 역할과 책임을 결정하고 리스크관리 담당자를 두는 체제를 구축한다.
(3) 예비설계, 기본설계, 상세설계, 유지설계 각 개발단계에서 리스크식별, 리스크평가, 리스크항목 대처, 리스크항목 감시 등의 관리를 실시하고, 개발에 대한 피드백을 도모한다.
* GCOM : Golbal Change Observation Mission
* AMSR2 센서 개요
센서유닛과 제어유닛으로 구성하고 센서유닛을 40rpm으로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관측입사각 55도, 관측폭 1450km를 실현시킨다. 안테나부 주반사경은 개구경 2m 급이며 센서유닛 회전부에 궤도상 균형조정기구로서 AMSR-E와 같은 가동질량(OBM)을 탑재한다.
<목차>
1. 목적
2. 배경 및 위치
3. 목표
4. 개발방침
5. 시스템선정 및 기본설계요구
5.1 위성시스템(GCOM-W)
5.2 관측시스템(AMSR2)
5.3 지상시스템
6. 개발계획
6.1 개발자금
6.2 스케쥴
6.3 실시체제
7. 리스크 관리
(1) 지구규모의 기후변동 ㆍ 수환경 메커니즘 해명을 위해 효과적인 물리량을 장기간 지속적으로 관측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이용, 실증한다.
(2) 위성으로 관측된 데이터를 다른 관측시스템 데이터나 모델데이터 등과 통합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형태로서 이용자에게 제공한다.
(3) 기후수치모델을 보유한 사용자 기관과 협조체제를 확립함으로써 국가 정책결정과 기후변동 예측시의 정밀도 향상에 기여한다.
(4) 기상예보, 어업정보제공, 해양로 정보관리 등을 하는 실이용기관에 데이터를 제공하여 현업분야의 재해 예방에 공헌 한다.
2. 목표
(1) 지속관측시스템의 구축과 13년간의 장기간 데이터셋팅을 통해 위성을 이용한 지구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이 기후변동과 수환경 메카니즘을 해명하는데 필수적인 사회인프라임을 실증한다.
(2) 이용자가 필요로 하는 형태로 관측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국제적인 공헌을 한다.
(3) 다른 관측 시스템 데이터와 융합하여 기후변동과 수환경 메커니즘 해명에 효과적인 신규 프로덕트를 생산함으로써 SCOM 프로덕트를 확충한다.
3. 개발방침
(1) 위성을 3번에 나눠 쏘아올리고 후속 위성과의 궤도상 운용기간을 약 1년간 중복시켜 양 관측센서를 비교 ㆍ 교정하면서 관측 데이터의 연속성을 확보한다.
(2) 위성시스템 개발시 신뢰성 확보를 최우선으로 하고 위성버스 개발은 기존의 기술을 최대한으로 활용하여 신뢰성 향상 및 비용절감을 도모한다.
(3) 관측센서 개발은 위성버스에 앞서 시험작동시험을 실시하여 위성전체 개발시의 리스크를 최소화 한다.
(4) GCOM-W는 GCOM-C와 공통성을 고려하여 설계한다.
4. 개발계획
자금계획은 다음과 같이 예상하고 있다.
GCOM-W1 위성 – 약 200억엔
GCOM-W1 용지상설비 개발 등 - 약 40억엔
5. 리스크 관리
(1) 위성개발에 관계된 리스크를 허용가능한 범위로 절감시키고 위성개발을 확실히 실행하기 위한 ‘GCOM위성 프로젝트 리스크관리 계획서’를 정리, 이에 기초하여 관리를 한다.
(2) 프로젝트 내부 구성원의 역할과 책임을 결정하고 리스크관리 담당자를 두는 체제를 구축한다.
(3) 예비설계, 기본설계, 상세설계, 유지설계 각 개발단계에서 리스크식별, 리스크평가, 리스크항목 대처, 리스크항목 감시 등의 관리를 실시하고, 개발에 대한 피드백을 도모한다.
* GCOM : Golbal Change Observation Mission
* AMSR2 센서 개요
센서유닛과 제어유닛으로 구성하고 센서유닛을 40rpm으로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관측입사각 55도, 관측폭 1450km를 실현시킨다. 안테나부 주반사경은 개구경 2m 급이며 센서유닛 회전부에 궤도상 균형조정기구로서 AMSR-E와 같은 가동질량(OBM)을 탑재한다.
<목차>
1. 목적
2. 배경 및 위치
3. 목표
4. 개발방침
5. 시스템선정 및 기본설계요구
5.1 위성시스템(GCOM-W)
5.2 관측시스템(AMSR2)
5.3 지상시스템
6. 개발계획
6.1 개발자금
6.2 스케쥴
6.3 실시체제
7. 리스크 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