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인도 정보산업의 성공 원문보기 1

  • 국가 인도
  • 생성기관 중국과학기술정보연구소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07-10-18
  • 등록일 2007-10-20
  • 권호

인도의 정보산업은 이미 큰 성공을 거두었고, 이것은 인도 경제의 기둥 중 하나이다.


 


1.     인도는 10년이라는 시간 만에 소프트웨어 강국이 되었다.


(1)  인도 소프트웨어 업계의 업적


인도의 소프트웨어 수출 규모, 품질과 원가 3가지의 종합수치는 세계 1위이다. 뿐만 아니라 인도는 현재 세계 5대 소프트웨어 제공 국가의 하나로, 미국 뒤로, 세계 2위를 차지하고 있고, 전세계의 시장 점유율은 20%이다. 인도 소프트웨어는 세계 91개의 나라로 공급되고 있으며, 전세계 32개의 컴퓨터 회사 중, 인도 회사는 15개나 된다. 미국은 인도 소프트웨어 제품의 가장 큰 시장이고, 미국 고객이 구매한 소프트웨어의 60%는 인도에서 생산된 것이라고 한다. 전세계의 소프트웨어 개발 시장에서 인도는 16.7%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인도 소프트웨어 수출의 신속 증가의 원인: (1) 높은 소프트웨어의 품질. (2) 국제시장의 수요에 따른, 수출 구조 조정.


 


인도의 소프트웨어 산업은 근 10년 동안 계속 50%의 증가율을 보이고 있고, 무역 대상은, 미국이 62%, 유럽이 24%, 일본이 4%를 차지하고 있다.


(2)  인도에는 뒤떨어진 경제 기초와 수준 높은 정보산업이 공존하고 있다.


 


2.     인도정부는 적극적으로 정보산업의 발전을 추진하고 있다.


(1)  발전 전략


일찍이 1984년, 라지브 간디 총리는 소프트웨어산업 발전의 중요성을 인지하였고, <<컴퓨터 소프트웨어 수출, 개발과 배양 정책 designtimesp=30118>>을 제정하였다. 라오 총리 역시 정보기술산업 정책을 계속 발전시켰고, 1998년 바즈파이 총리는 <<인도 정보 기술 행동 계획 designtimesp=30119>>을 제정하여, 국가 정보 기술 정책 체계를 형성하였다. 뿐만 아니라 인도 정부는 소프트웨어 개발국과 국가 소프트웨어 개발 센터를 설립하여, 세계 소프트웨어 산업의 발전 방향과 최신 기술에 대해 연구하고, E-business등의 법률 구조 등을 제시하였다. 인도 정부는 10년의 시간을 이용하여 2001년 100억 달러의 규모를 1000억 달러 규모로 확장할 계획이다. 현재 인도의 연구경비는 총 GNP의 1%로, 선진국가와 동일한 수준이다.


 


(2)  인도정부, 정보산업에 대한 정책적 지지


인도정부는 인도 소프트웨어 기술과 제품에 대한 수입,수출에 대해 면세 혜택을 주고 있고, 소프트웨어 산업에 역시 면세 혜택을 주고 있다. 관세, 유통세와 service fee 등을 면제 해주고, 수입하는 소프트웨어의 경우 이중 관세와 소프트웨어 수출상의 소득세를 면제해 주고 있다.


, 1998년 정부는 10억 루비의 금융 리스크 펀드를 설립하여, 저금리로 인도 소프트웨어 회사에게 대출을 해주고 있다. 2001-2002년의 정부 재정 예산 중, 소프트웨어 산업은 앞으로 15년 동안 세금을 증수하지 않을 것임을 명시하기도 했다.


 


3.     인도 정보산업의 기술, 품질, 서비스와 인재


인도정부는 70,80년대의 고관세 전략으로 소프트웨어 자체 개발을 자극시켰고, 그 결과,현재 65%의 소프트웨어 회사는 세계 최첨단의 제4대 프로그래밍 언어를 장악하여, 국제적인 대형 개발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인도는 세계에서 가장 엄격한 지적 소유권 및 불법 복제 방지에 관한 법률을 제정 하였고, 국제 품질인증기관 등을 건설 하였다.


 


인도 정보산업이 성공할 수 있었던 또 하나의 이유는 언어이다. 인도의 관방 언어는 영어로 정보 기술과 인터넷 혁명의 언어이기도 하다. 이러한 언어 환경 하에, 인도정부는 2000년 2월, 정보기술을 전국교육과목으로 제정하여, 초등학교부터 컴퓨터와 정보기술에 대한 교육과 지적 소유권에 대한 도덕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그 결과, 전 세계의 소프트웨어 개발 인재 중, 30%가 인도인이다. 또한 인도는 인재의 유출 방지를 위해, 고보상 제도를 펼치고 있다.


 


4.     인도 정보산업 성공의 관한 계시


인도의 성공은 후진국이 정보산업 수출을 통해, 경제 성장을 성공시킨 사례이다. 인도는 자국에 맞는 정보산업 정책과 전략으로 정보산업을 국민 경제의 돌파구로 지목하여 발전 시킨 것에 있다.


 


인도의 성공으로 미루어 보아, 후진국은 국제시장 변화를 주의해야 하고, 자기 나라에 맞는 전략을 선택해, 국가 경제발전과 국가 전략이 유기적인 조합을 이루어야 한다. 이 과정 중, 국가의 거시적 통제력은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


 


현재, 인도 소프트웨어 회사의 계약 사항은 아직 미흡한 부분이 있다. 21세기의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계약은, 고객에게 일련의 솔루션을 제공해야 한다. 인도의 소프트웨어 회사는 진정한 정보기술서비스 공급상이 되려면, 고객에게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제공할 뿐 아니라, 체계적인 솔루션과 일련의 제품군을 제공해야 하고, 글로벌 기업의 국제적인 관리경험과 마케팅 전략을 도입해야 한다.


 


인도의 소프트웨어 수출의 의존도는 미국이 20%나 차지하고, 소프트웨어 제품은 60%가 미국으로 수출된다. 911사건 이후, 미국의 경제발전 속도가 느려지면서, 정보산업의 발전 역시 불투명한 상태이다. 이런 시기, 인도는 정보기술 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이루기 위해, 한 단계 더 발전한 경제 전략을 세울 필요가 있고, 정보산업 기술을 국내 다른 분야에 응용할 뿐 아니라, 동시에 유럽과 아시아의 수출을 증가시켜, 국민경제 발전을 촉진시켜 나가야 한다.


 


현재, 국제 정보산업은 두 가지의 성공 모드가 있는데, 그 첫 번째는 미국형 모드로, 강력한 소프트웨어 플랫폼으로 기업 브랜드를 중시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인도형 모드로, 대형 소프트웨어 가공 및 수출로 시장 수요를 만족해 나가는, 국가적 브랜드를 추구하는 것이다.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