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일본,「아시아의 지속적 발전을 위한 환경・에너지 기술 개발」을 주제로 한 일본・아시아 연구기관 조사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연구개발전략센터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06-01-25
  • 등록일 2011-05-04
  • 권호

* 여기에서 다루는 아시아 국가는 동남아시아 국가연합(ASEAN: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싱가폴, 타이, 필리핀, 브루네이, 베트남, 라오스, 미얀마, 캄보디아)과 중국, 한국, 일본이다.


1. 조사 목적과 대상

(1) 아시아의 지속적 발전을 위한 환경·에너지 기술의 연구개발 추진.

(2) 아시아 국가의 환경·에너지 현황·과제와 연구개발 상황.

(3) 아시아 국가가 협력해야할 연구과제.

(4) 협력가능한 기관·시설, 연구체제, 연구설비, 연구추진방책 등.


2. 조사대상국

국가 - 중국, 태국, 라오스, 베트남,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기타 - 메콩강위원회(태국, 라오스, 캄보디아), 아시아 개발은행(ADB)


3. 조사결과

(1) 중국

※ 방문기관: 중국과학원(CAS) 및 소속기관(생태환경연구센터, 지리과학·자원연구소), 베이징 사범대학, 칭화대학.

① 중국의 경제성장은 에너지와 물(양과 질)이 제약조건이다. 수자원 효율은 낮다. 

② 에너지 효율향상의 목적은 경제성장의 자원제약 탈피.

③ 환경열화가 경제에 주는 영향은 미평가. 환경열화에 대한 위기감은 강하다.

④ 환경과 경제발전의 지속모델에 대한 통합적 평가시스템이 없다.

⑤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환경문제에 주목. 지리과학·자원환경연구소가 “아시아 태평양 지역 연구센터”를 목표로 하고 있다.

⑥ 방문기관이 생각하는 과제 : 경제발전과 순환이용(자원부족이 아시아 국가에 주는 영향)

⑦ 공동연구후보

    과학원 소속 <지리과학·자원환경연구소>, <지리과학대학원>, <자연환경대학원>, <생태환경연구센터>, 칭화대학, 베이징 사범대학, 환경과학연구원


(2) 태국

※ 방문기관 : 태국과학기술연구소(TISTR), 환경연구연수센터(ERTC), 아시아공과대학(AIT), 에너지환경합동대학원(JGSEE), 태국환경연구소(TEI), 출랑롱코른대학 및 소속기관(환경연구소(ERIC), 에너지연구소(ERI), 수생생물자원연구소(ARRI))

① 공해대책형 연구가 중심이다.

② 바이오마스·태양광 에너지 등 재생가능 에너지 이용기술에 주력(2011년까지 재생가능 에너지 이용을 총에너지 소비량의 0.5%에서 8%까지 올릴 계획)

③ 방문기관이 생각하는 아시아 공통과제

    - 물공급·관리기술, 에너지 안정·안전보장, 농업생산기술의 고도화, 메콩강 유역의 지속가능한 발전, 생물유전자 자원 등.

④ 공동연구처 후보 - ERTC, 자연자원환경부(MNRE), AIT, JGSEE 등

⑤ 기술개발·이전처 후보 - 과학기술부 태국과학기술연구소(TISTR/MOST)

⑥ 사회모델·시나리오, 환경영향평가(EIA)연구 - TEI

⑦ 네트워크, 인재육성후보 - Thailand Energy & Environment Network(TEENET), Thailand-Japan Technology Transfer Project(TJTTP), AUN/SEED-Net(JICA Project) 등.


(3) 라오스

① 메콩강 집수지역의 수자원 및 생물다양성의 보전과 이용연구가 중요하다.

② 연구자, 설비, 인재육성 등의 능력개발이 중요하다.

③ 방문기관이 생각하는 아시아 공통과제

   -메콩강 집수지역의 자원 이용, 에너지 공급(수력발전), 삼림·습지생태계의 생물다양성의 보전과 관리.

④ 공동연구처·기술이전·네트워크, 인재육성 후보 - 라오스 국립대학, 국립삼림농업연구소


(4) 베트남

① 베트남 안장대학(An Giang University)은 정부, 특히 농업청과의 연결이 강하며, 메콩강 유역의 생태계 조사·연구에서 메콩강 지역에 있는 대학들의 거점이 될 수 있다.

② 환경과 조화한 생태학적 양식 및 농업생산모델의 개발이 중요하다. 

③ 방문기관이 생각하는 아시아 공통과제 - 쌀재배와 새우양식 모델의 지속성 평가, 지속적인 메콩강 자연자원 관리, 지속적 농업·어업생산기술 개발

④ 생태계·생물다양성에 관해 국제연합식량농업기관(FAO), CIDA(캐나다), SAREC(스웨덴), AusAID(오스트레일리아) 등과 국제공동연구를 실시.

⑤ 공동연구처, 기술개발·이전처, 네트워크·인재육성후보 - 안장대학, 칸토대학


(5) 메콩강위원회(MRC) - 라오스, 태국, 캄보디아, 베트남

① 메콩강 유역 생태계, 물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연구시 MRC와의 협력이 중요하다.

② 메콩강 유역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목표로 계획·프로그램을 총괄적으로 실시.

③ 핵심 프로그램 - 유역개발계획, 물이용·환경 프로그램, 홍수관리·완화 프로그램, 어업·운수·수력발전 프로그램 등

④ MRC의 목적은 메콩강 유역의 지속가능한 개발 실현이며, 참가국만 아니라 아시아 각국의 연구기관과 협력을 추진.

⑤ 정보수집, 1차 데이터 공유 등을 포함한 공동연구의 대상기관으로서 최적이다.

⑥ MRC의 실권(사무국장)은 유럽에 있으며, 메콩강 유역개발을 유럽측에 유리하도록 추진하는 전략이 작용중.


(6) 말레이시아

① 현재 제9기 말레이시아 계획SP9(FY2006-2010)을 책정중이다. 나노테크놀로지와 바이오테크놀로지·환경, 정보통신에 주력.

② Malaysia My Second Home 프로젝트, 바이오마스 에너지 산업 추진에 의한 도로 확장공사, 원생림 개간이 진행되어 환경파괴가 현저하다.

③ 자국의 유전자 자원의 유효성을 인식하여 연구거점(BioNexus)을 설치하는 등 바이오테크놀로지 연구가 활발하다. 신규화합물 탐색연구에서는 MIT와 공동연구중.

④ 국가우선영역의 연구개발중점예산(IRPA)을 비롯한 정부 주도의 경쟁적 자금제도가 확립.

⑤ 주정부의 권한이 강하고, 생물자원의 취급에 대해서는 주 독자의 생물다양성규제에 따른 연구계약을 통해 공동연구를 행해야 한다.

⑥ 공동연구과제로는 생물다양성의 지속적 이용, 화전에 수반되는 대기오염문제, 삼림의 이산화탄소흡수, 지속적 삼림관리 등


(7) 인도네시아

※ 방문기관 - 인도네시아 과학원(LIPI) 및 소속기관(생명과학부문 생물학 연구센터, 보고르 농과대학(Bogor Agricultural University))

① 국가전략이 5년마다 책정, 식량·건강, 에너지, IT, 운수 등 우선영역이 정해져 있다.

② LIPI의 우선영역은 국가전략의 우선영역 외에 생태계와 생물다양성, 국·지역·글로벌한 경쟁력, 측정과 품질관리.

③ 많은 국내외 연구기관과의 공동연구실적이 있다. 특히 JICA의 생물다양성 프로젝트를 통한 훌륭한 설비와 세계에서도 1,2위의 수를 자랑하는 풍부한 생물표본이 특징이다.

④ LIPI의 예산은 국가개발예산(DIP), 협력예산(DIKS)으로 운영되고 있다. 대학기관에의 경쟁적 자금창구는 교육청(DIGI).

⑤ 공동연구 테마는 에너지 안전보장(바이오마스 에너지, 폐기물회수·처리·이용), 물관리, 생물다양성 등


(8) 아시아 개발은행(ADB) - 필리핀, 마닐라

① 2002년 국제연합 밀레니엄 선언에서 설정된 밀레니엄 개발목표(MDGs)를 정식으로 채용하여, 2001~2015년 장기전략 플랫폼(LTSF)과 매년 책정하는 국가별 전략·프로그램(CSPs) 등에 반영하여 활동중이다.

② 우선테마는 능력개발, 환경의 지속가능성, 민간섹터 개발, 지역협력 등이다.

③ 융자와 기술원조는 주로 사회기반, 운수·통신, 에너지, 농업·천연자원, 광공업, 금융 프로젝트 등에 제공되고 있다.

④ 에너지 분야에서는 기금지원과 프로젝트의 성과로 얻은 탄소시장의 추가적 수입으로 각 프로젝트 실시.

⑤ 주요 개발기관과의 전략적 협력을 통해 지역·세계 규모의 환경문제나 빈곤이 원인인 환경문제에 대처하며, 지구환경기금(GEF)이 행하는 6개 프로젝트(생물다양성, 기후변동, 국제 물문제, 오존층파괴, 사막화, 잔류성유기오염물질)와의 협력이 활발하다.


(9) 아시아 국가들과 협력해야 할 연구과제

① 글로벌 환경오염의 지속적인 감시·관측·예측·영향 평가, 모니터링 연구.

② 환경변화에 따른 생태계의 취약점 평가, 지속적 이용을 위한 보전관리 연구.

③ 거대도시화에 따른 환경변화 및 이에 의한 물·폐기물순환, 변동예측. 이에 기초한 통합관리기술, 대책기술 연구.

④ 유전자 자원 확보 및 이용기술 연구

⑤ 안전·환경기준, 환경지표, 공업규격 등의 아시아 표준연구.




목차

1. 조사목적 - 배경과 목적

2. 조사대상 

3. 조사방법 - 조사방법, 항목, 대상조사기관의 선정

4. 조사결과

5. 정리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