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탄소포집저장기술(CCS) 상용화를 위한 정책 방안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5-10-16
  • 등록일 2015-11-09
  • 권호

○ 브루킹스연구소(Brookings Institution)는 미국 내 탄소포집저장기술(Carbon Capture and Storage, CCS)의 사업화 현황과

    이를 촉진하기 위한 정부 정책들을 살펴보고, 기술의 발전과 상업화를 촉진하기 위한 정책 방안을 살펴보는 보고서를 발표


   ※ 탄소포집저장기술(Carbon Capture and Storage, CCS) : 연소 과정에서 발생되는 탄소를 대 기에 배출되기 전 다시 붙잡아

       회수, 압축한 후 지하나 바다 등으로 격리하는 기술로, 탄소 배출로 인한 지구온난화의 근본적인 대안은 될 수 없으나 현

       상황에서 가장 현실적인 대안으로 평가


 - 화석 에너지에 대한 높은 의존도와 이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기초 시설들을 고려할 때 탄소포집저장기술(Carbon Capture

    and Storage, CCS)은 현재 상황에서 90% 이상의 탄소 배출을 저감시킬 수 있는 유일한 기술수단으로, 기후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안


 - 해당 기술 하나만으로 섭씨 2도를 줄이는 탄소의 배출량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효율적인 온실 가스의 배출 저감을 위해 탄소

    포집저장기술과 같은 저배출 기술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


○ 현재 미국 정부는 해당 기술의 R&D에 대한 재정 지원 및 신용 대출, 세액 공제 등의 정책적 지원을 제공하고 있으나 시제품

    생산(demonstation) 단계에서의 지원이 다소 부족한 상황이며 재정적 인센티브, 기술 시장의 규모 또한 사업화에 걸림돌로

    작용


○ 해당 기술의 발전과 상업화를 촉진하기 위해 본 보고서는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시


 - 대규모 시제품 생산을 지원하기 위한 탄소포집저장기술 신탁 기금 마련


 - 신용 대출 및 세액 공제 프로그램의 개선


 - 연구 프로젝트가 마스터 합자 회사(Master Limited Partnership, MLP) 및 사적사업채권(Private Activity Bond)을 통해 자금을

    지원받도록 하는 방안과 기본 설계(feed front end engineering design)위한 재정 지원을 검토


 - 탄소포집저장기술 시장 확보를 위한 연방 탄소 정책 마련 및 전력 가격 안정화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