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신동향
해외단신
국가과학기술위원회, 미생물군집에 대한 연구 현황 분석 및 향후 투자 방안 제시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기초연구진흥
- 원문발표일 2015-11-20
- 등록일 2015-12-21
- 권호
○ 국가과학기술위원회(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Council, NSTC)는 '미생물군집(microbiome)*' 연구에 대한 연방 정부의
투자 현황을 살펴보고, 향후 투자가 필요한 부문을 제시한 보고서를 제출
* 생체 내 미생물(microorganisms)이 군집을 이룬 것. 이러한 미생물군집에 대한 연구는 질병이나 생태계 파괴 등을 예측하고
그 특성을 파악하며 미생물군집을 다양한 부문에의 활용을 가능케 할 것으로 보고 있음
- 관련 연구의 중요성을 인식한 국가과학기술위원회는 2015년 2월부터 미생물군집 지도 작성 촉진을 위한 위원회(Fast Track Action
Committee on Mapping the Microbiome, FTAC-MM)를 발족하고, 미생물군집 연구에 대한 연방 정부 기관의 투자 현황 및 투자
필요 부문에 대한 조사를 진행해 옴
○ 해당 보고서는 2012-2014 회계연도 사이의 미생물군집 연구에 대한 연방 투자액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향후 투자가 요구되는
부분을 제시
- 지난 3년 간 연방 정부 기관은 미생물군집에 대한 연구에 약 9억 2,200만 달러를 투자하였으며, 이 중 약 60% 정도가 국립보건원
(NIH)을 통해 수행됨
- 연방 연구소 소속 과학자 및 연구 관리자들은 대량의 데이터를 분석할 소프트웨어와 이러한 분석을 수행할 생물 정보학자
(bioinformaticians)를 필요로 함
- 또한 미생물군집 연구의 각 부문별 표준화 및 연구에 필요한 참조 자료, 기초 데이터, 샘플 저장고 등에 대한 수요가 높게 나타남
○ 보고서는 이와 같은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투자가 요구되는 부문을 제시
① 연구 표준이나 참조자료 등과 같은 개발 도구나 종합적이고, 적용성이 뛰어나며, 사용자 친화적인 데이터 베이스와 같은 플랫폼
기술에 대한 투자 인센티브를 제공할 것
② 미생물군집 연구 데이터 분석에 능한 연구 기술자의 육성에 투자할 것
○ 미생물군집에 대한 연구는 질병 치료, 청정 에너지 생산, 식량 안보, 환경 보건 등의 분야에서 혁신적 해결책을 내놓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되며, 이번 보고서는 관련 연구를 촉진하기 위한 정책의 기본 방향을 제시할 것으로 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