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일본, 정부연구개발투자현황과 혁신정책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5-11-26
  • 등록일 2015-12-21
  • 권호

○ 내각부는 제14회 기본계획전문조사회 개최 (2015.11.26)


○ 회의내용


 ① ‘제5기 과학기술기본계획’의 투자 목표


  - 인구 감소 및 저출산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는 일본에서는 과학기술혁신만이 경제성장 및 생산성향상의 원천


  - 지금까지 기본계획에 정부연구개발투자 수치목표를 게재하여, 과학기술혁신기반을 강화시켜 왔으며, 제5기 기본계획에서는

     정부연구개발투자확충 및 정부연구개발투자 수치목표가 필수적


 ② 일본의 과학기술 관계예산 추이


  - 1990년대 증가했던 것과 달리, 2000년 이후는 보정예산으로 증가한 해를 제외하고는 거의 변동없음


 ③ 과학기술혁신정책에 따른 성과


  - 경제성장 및 생산성향상에 크게 공헌하는 한편, 국민생활에 큰 변화를 초래하는 질 높은 성과 창출과 사회환원 실현


  - 대학발 벤처에 따른 국부창출(대학발 벤처의 시장가치는 1조 엔을 초월)


④ 미래 투자로서의 과학기술혁신정책


  - 정부연구개발투자는 민간기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미래 경제성장에 공헌


  - 그 결과, 세수증가를 통해 국가의 재정구조개선에 이바지


⑤ 정부연구개발투자의 중요성 향상


  - 일본의 논문총수는 중국 및 독일에 밀려 차이가 점점 확대되고 있으며 Top 10% 보정논문수도 저조


  - 민간에서는 단기적인 관점이 증가하면서 기초연구가 감소


  - 기초연구뿐만 아니라 응용 및 개발연구에 있어서도 정부부담비율은 주요국에 비해 저조


   ※ [참고] 정부연구개발투자에 관한 기존 제언


  - 일본경제단체연합회 : 제5기 과학기술기본계획 책정을 위한 긴급제언(2015년 10월)


  - 일본상공회의소 : 지방창조를 위한 ‘제5기 과학기술기본계획‘ 체제에 관한 7가지 제언(2015년 10월)


  - 산업경쟁력간담회 : 제5기 과학기술기본계획 최종 정리를 위한 의견(2015년 10월)


  - 간사이경제연합회 : 제5기 과학기술기본계획 책정을 위한 제언(2015년 11월)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