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에볼라 바이러스를 진단 방법 발견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기초연구진흥
  • 원문발표일 2015-12-07
  • 등록일 2016-01-11
  • 권호

○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에 의하면 에볼라 바이러스는 2014년 서 아프리카에서 발발, 거의 3만명에 달하는

    사람이 감염되었으며 그 3분의 1이 사망함.


 - 에볼라 바이러스는 유전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DNA를 이용하는 게 아니라 리보핵산(RNA)을 이용한 바이러스로, 현재까지 정확한

    예방 및 진단법이 없음.


○ 생물의학공학자 니콜 스테인메츠(Nicole Steinmetz)는 유방암 연구원 루스 케리(Ruth Keri)와 팀을 이뤄 국립과학재단(NSF)으로

    부터 십만달러의 지원을 받아 에볼라 바이러스를 보다 정확하게 진단하는 방법을 발견해 냄.


 ※ ① 나노생산에 기반한 방식으로 안정적인 형태의 합성 에볼라 RNA를 만든 뒤 이것을 식물 바이러스의 나노입자에 주입함 →

     ② 식물 바이러스는 RNA 를 보호하기 위해 에볼라 바이러스 코트와 비슷한 방어적인 단백질 코트를 생산해냄 → ③ 이를 통해

     에볼라 바이러스를 최소화하고, 진단 및 모니터링을 위한 검사 샘플을 만들 수 있음.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