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12차 5개년기간 첨단기술산업 성과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5-12-07
  • 등록일 2016-01-11
  • 권호

○ 중국의 첨단기술산업은 12차 5개년에 일부 중요한 혁신성과가 배출되어 경제사회 발전 지원과 유도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


 - (기초연구분야) 양자제어, 중성미자 진동, 90α 열쇼크단백질, CiPS 줄기세포 등 원천성 성과 배출


 - (전략적 첨단기술분야) 유인우주선, 달탐사공정, 심해 잠수선, 슈퍼 컴퓨팅, 북두항법 등 분야에서 획기적인 성과를 창출하여

    국가의 전략적 이익을 수호


 - (과학기술 지원산업 발전분야) 고속철, 4G 이동통신, 원전, 전기자동차, 특고압 송변전, 교잡벼 등 혁신성과를 신속히 응용하여

    과학기술혁신은 경제구조 조정과 고도화, 민생 개선과 국가안보를 위해 중요한 지원을 제공


○ 첨단기술산업개발구는 첨단기술산업 발전의 주력


 - 2014년 말 중국이 인정한 첨단기술기업은 6.8만개


 - 중관촌국가자주혁신시범구의 차세대 인터넷, 상하이 장쟝국가자주혁신시범구의 집적회로, 우한 둥후국가자주혁신시범구의

    광전자, 선전국가자주혁신시범구의 통신설비 등 신흥 산업클러스터는 국제경쟁력 확보


○ 2014년 통계결과


 - 중국의 R&D투자는 전년대비 84.3% 증가한 1조 2,400억 위안, 그 중 기업의 R&D투자가 76% 이상


 - 국제과학기술논문 수는 세계 2위, 피인용 횟수는 8위에서 4위로 상승


 - 1만명당 특허 보유량은 4.9건으로, 2010년보다 2.8건이 증가


 - 기술계약액은 2010년보다 119.5% 증가한 8,577억 위안


 - 첨단기술산업 매출액은 2010년보다 55.8% 증가한 13조 위안


 - 경제성장에 대한 과학기술 기여도는 2010년의 50.9%에서 2014년의 54%로 상승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