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신동향
해외단신
북극 연구 성과를 정리한 진도 보고서를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국제화
- 원문발표일 2015-12-14
- 등록일 2016-01-25
- 권호
○ 국가과학기술위원회(NSTC) 산하 환경, 천연자원, 지속가능성 위원회(Committee on Environment, Natural Resources, and
Sustainability)는 북극 연구 5개년 계획에 따라 진행된 성과를 정리한 진도보고서를 발표
- 지난 2013년 2월에 수립된 북극 연구 5개년 계획은 매 2년 마다 진도 보고서를 제출할 것을 요하는데, 이 보고서는 이에 따라
처음으로 연구 성과를 보고하는 것임
○ 북극 연구 5개년 계획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조직된 기관간 북극연구정책위원회(Interagency Arctic Research Policy
Committee, IARPC)는 다양한 연방 기관 간의 협력적 연구를 조정, 촉진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다음과 같은 목표를 달성하고자 함
- ① 기후 변화를 측정하고 분석해 이에 적절하게 대응함, ② 북극 지역 거주민들의 건강을 증진시킴, ③ 북극 지역 내 천연자원
부존량을 파악함, ④ 사회기초시설 관련 연구를 촉진함, ⑤ 원주민의 언어, 정체성, 문화를 조사함
○ 계획 수립 이후 북극연구정책위원회(IARPC)의 조정 하에 현재 16개 연방 기관들이 12개 협력연구팀을 조직하여 7개 주요 연구
주제에 대한 연구를 진행 중에 있음
- 국립과학재단(NSF), 내무부(DOI), 항공우주국(NASA), 상무부(DOC) 를 중심으로 총 16개 연방 기관들이 참여 중
- 협력 연구팀은 극지방 주거(Arctic Communities), 극지방 데이터(Arctic Data), 극지방관측시스템(Arctic Observing Systems),
대기(Atmosphere) 등 총 12개로 조직됨
- 7대 주제는 해빙 및 해양생태계(sea ice and marine ecosystems), 육빙 및 생태계(terrestrial ice and ecosystems), 지표열 및
에너지 균형에 대한 대기 연구(atmospheric studies of surface heat, energy, and mass balances), 관측 시스템(observing
systems), 지역 기후 모델(regional climate models), 기후변화 대응방안(adaptation tools for sustaining communities), 지역민
건강(human health) 등으로 설정됨
○ 미국 연방 기관들은 앞으로도 북극연구정책위원회(IARPC)를 중심으로 기관 협력 연구 및 국제 협력 연구를 통해 북극과 관련한
연구를 활발하게 진행해 나갈 것으로 전망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