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신동향
해외단신
농림부, 환경청, 에너지부, 바이오가스 기회 로드맵 진도 보고서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농림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5-12-16
- 등록일 2016-01-25
- 권호
○ 에너지부(DOE), 환경청(EPA), 농림부(USDA)는 바이오가스 기회 로드맵(Biogas Opportunities Roadmap)의 진도 보고서"Biogas
Opportunities Roadmap Progress Report"를 발표
○ 바이오가스 기회 로드맵은 미생물 등을 활용해 생산되는 수소 및 메탄과 같은 바이오가스의 활용을 통해 이산화탄소의 25배에
달하는 잠재적 온실 효과를 가지고 있는 메탄 가스의 배출을 줄이고자 지난 2014년 7월에 발표됨
- 로드맵은 2014년 3월 발표된 기후행동계획(Climate Action Plan)의 일환으로 메탄 가스의 배출량 저감을 위한 에너지부, 환경청,
농림부의 종합적 협력 전략을 담고 있음
- 전략의 일환으로 세 연방 정부 기관은 업계 지도자들이 자발적으로 효율적인 메탄 가스 저감 전략을 개발할 수 있도록 각자 바이오
가스 로드맵을 설정할 것을 권장
○ 2014년의 로드맵은 바이오가스가 생산되고 있는 2,000 곳 이상의 지역과, 잠재적으로 생산 가능성이 있는 11,000 곳을 파악
- 잠재적인 생산량이 모두 실현될 경우, 2030년까지 바이오가스는 300만 가구에 전력을 공급할만큼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게 될
것으로 전망
- 바이오가스의 활용을 통해 5,400만 톤의 이산화탄소와 맞먹는 메탄 가스의 배출을 저감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로드맵 발표 후 각 연방 기관들은 바이오가스 산업을 육성하는 방향으로 자체 정책 및 프로그램을 수정
- 바이오가스를 재생 에너지 중 셀룰로오스(cellulosic) 연료에 포함해 다양한 자금 지원 프로그램에 지원할 수 있도록 함
- 민관간 바이오가스 협력 체제인 바이오가스워킹그룹(Biogas Working Group)을 신설하여 바이오가스 관련 사업자에 정부의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관련 시장을 육성하며, 기관 간의 협조 및 소통을 개선함
○ 바이오 가스는 정부의 장기적 기후 및 에너지 정책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보이며, 1,000만 달러의 연구비 지원을
포함하는 바이오 가스 기회 로드맵(Biogas Opportunities Roadmap)의 다음 단계는 이러한 바이오 가스 산업의 발전을 더욱 촉진
할 것으로 전망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