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주별 신재생에너지 공급 의무화 제도를 통한 사회적 편익 분석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6-01-06
  • 등록일 2016-02-11
  • 권호

○ 에너지부(DOE) 산하 로렌스버클리국립연구소(LBL)와 국립신재생에너지연구소(NREL)는 주별 신재생에너지 공급 의무화

    제도(RPS)를 통해 2013년 발생한 사회적 편익을 총 74억 달러로 추정함


○ 주별 신재생에너지 공급 의무화 제도(State RPS)는 전력 공급자에게 발전량의 일정 비율 이상을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해 공급

    하도록 의무화한 제도로, 미국에서는 29개 주와 워싱턴 D.C.가 이 제도를 시행하고 있음


○ 로렌스버클리국립연구소(Berkeley Lab)와 국립신재생에너지연구소(NREL)는 보고서 "A Retrospective Analysis of the Benefits

    and Impacts of U.S. Renewable Portfolio Standards" 에서 2013년 이 제도의 실시로 저감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통해 22억 달러,

    대기오염 감소를 통해 52억 달러의 편익을 얻었다고 분석


 - 온실가스 저감 효과는 온실가스로 인한 피해액의 산정 기준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어 최소 7억 달러에서 최대 63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정됨


 - 대기오염 감소로 인한 편익 또한 대기오염으로 인한 피해를 추정하는 기준에 따라 최소 26억 달러에서 최대 99억 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평가됨


○ 또한 이 보고서는 신재생에너지 공급 의무화 제도(RPS)를 통해 고용 창출과 에너지 비용 절감의 부가적 효과를 얻었다고 분석


 - 신재생에너지 공급 의무화 제도(RPS)의 시행을 통해 2013년에만 관련 일자리 20만 개가 공급된 것으로 분석됨


 - 국민들의 경우 전력비를 최대 12억 달러, 가스비를 최소 13억 달러에서 최대 37억 달러 절감할 수 있었다고 추정


○ 결론적으로 본 보고서는 신재생에너지 공급 의무화 제도(RPS)를 통한 편익치를 다음과 같이 추정


 - 온실가스 배출 저감 효과: 1킬로와트시(kWh)당 0.7~6.4센트


 - 대기오염 감소 효과: 1킬로와트시(kWh)당 2.6~10.1센트


 - 전력비 절약 효과: 1킬로와트시(kWh)당 0~1.2센트


 - 가스비 절약 효과: 1킬로와트시(kWh)당 1.3~3.7센트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