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후생노동성, '의료분야에서의 번호제도활용에 관한 연구회' 보고서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5-12-10
  • 등록일 2016-02-11
  • 권호

○ ‘의료분야에서의 번호제도활용에 관한 연구회’에서는 의료분야 정보연계에 이용하는 ID의 제도설계 등에 대한 보고서를 발표함


○ 주요 내용


 ① 의료분야 개인정보특성 및 정보연계의 의의


  - 의료분야 개인정보는 환자와 의료, 간호종사자가 상호 신뢰관계를 토대로 공유하고 있으며 병력이나 진단 결과 등 제3자에게는

    공개하고 싶지 않은 정보가 있음. 따라서 개인정보취득 및 이용시 본인의 동의를 얻는 한편, 목적 외에 사용되지 않도록 개인정보

    보호조치를 강구해야 함


 ② 의료보험 온라인 자격확인 도입


  - 온라인 자격확인은 IC카드의 2중 투자를 피하고 사회 정보인프라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관점에서 마이넘버제도

     인프라와 기존 의료보험 인프라를 조합시켜 개인번호카드 활용을 기본으로 하는 것이 합리적임


  - 도입초기비용이나 운영비용을 정밀히 조사하는 한편, 보험자 및 의료관계자와 협의 및 검토를 추진하여 2018년도부터 단계적으로

     도입, 2020년까지 본격 운용을 목표로 해야 함

 
  - 또한, 원활한 도입을 위해 본격 운용 전에 일정기간 테스트 운용도 실시해야 함


 ③ 의료분야에서의 정보연계식별자(ID) 체계 및 보급 시책


  - ID 발행 및 관리기관은 마이넘버제도 인프라를 활용할 경우 사회보험진료보수지불기금과 국민건강보험중앙회가 공동으로 담당

    하는 것이 합리적임


  - 보급과 관련하여 국민 스스로의 의료정보활용 목적과 의의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며, 다양한 기회를 활용하여 국민에 대한 정보

     발신방안이 요구


  - 본인의 건강 및 진단이력을 파악할 수 있는 포털 서비스 등 국민 스스로가 혜택을 누릴 수 있는 시책을 추진함으로써 효율적인

     진료 및 간호를 제공하고, 보험재정에 대한 국민의 이해와 납득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