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상무부 데이터 활용 프로젝트, 정부의 공공 데이터 제공 및 이용 활성화 노력의 대표적 사례로 소개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6-01-29
  • 등록일 2016-02-29
  • 권호

○ 과학기술정책실(OSTP)은 정부의 공공 데이터 제공 및 이용 활성화 노력의 대표적 사례로 상무부(DOC)의 상무부 데이터 활용

    프로젝트(Commerce Data Usability Project, CDUP)를 소개


○ 정부 데이터의 투명성과 접근성을 개선하는 것은 오바마 정부의 주요 정책 중 하나로, 공공 데이터 통합 제공 사이트(Data.gov)의

    개설, 국제 열린 정부 파트너쉽(Open Government Partnership)의 발족, 개방과 기계판독을 위한 정부 정보의 새로운 시행 명령

    (Executive Order on Making Open and Machine Readable the New Default for Government Information)등 다양한 관련 정책이

    시행되고 있음


○ 상무부(DOC)는 상무부 데이터 자문 위원회(Commerce Data Advisory Council)를 만들고 상무부의 자료를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해왔으며, 상무부 데이터 활용 프로젝트(CDUP) 하에 부서 내 자료의 공개를 주도해왔음


 - 해양대기국(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NOAA)의 자연 재해 데이터(Severe Weather Data Inventory,

   SWDI)를 바탕으로 사용자들이 인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도록 통계치를 제공


 - 국립표준기술연구소(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NIST)의 보안 취약 부문 데이터(Security vulnerability

   data)를 이용해 사용자들이 컴퓨터 및 소프트웨어 보안에 대한 통계자료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함


 - 해양대기국(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NOAA)의 가시/적외선 이미지센서(Visible Infrared Imaging

   Radiometer Suite, VIIRS)를 이용해 사용자들이 어떻게 인구를 추산할 수 있는지를 알려주는 튜토리얼을 제공


 - 통계청(U.S. Census Bureau)의 미국 지역사회 조사(American Community Survey, ACS)에 대한 튜도리얼 자료를 제작, 비영리

   조직 등이 인구통계 자료를 분석하는 방법을 제공


○ 연방 기관들은 상무부의 성공적인 공공 데이터 공개 및 활용 사례를 바탕으로 앞으로 공공 데이터 제공을 더욱 확대해 나갈 것으로

    전망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