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신동향
해외단신
향후 뇌-기계 인터페이스로 활용 가능한 Stentrode 개발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6-02-08
- 등록일 2016-03-14
- 권호
○ 미국방위고등연구계획국(Defense Advanced Research Projects Agency, DARPA)은 혈관을 통해 인체에 삽입하는 스텐트
방식의 뇌-기계 인터페이스 기술, 스텐트로드(Stentrode)를 개발
※ 스텐트(stent): 혈관 내 폐색을 막고 통로를 확보하기 위해 혈관에 주입하는 의료 기구
- 본 연구는 미국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의 신뢰성 있는 신경 인터페이스 기술(Reliable Neural-Interface Technology,
RE-NET) 프로그램 하에서 수행됨
○ 이번에 개발된 기기의 경우 혈관을 통해 뇌에 삽입하여 뇌 신호를 수신, 저장하는 장비로 향후 뇌-기계 인터페이스(brain-machine
interfaces, BMIs)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 스텐트로드(stentrode)라 명명된 본 기기는 혈관을 청소하거나 대체하는데 이미 사용되어 온 스텐트(stent) 기술을 적용한 것
- 혈관을 통해 장치를 삽입함으로써 외과 수술이나 혈뇌 장벽(blood-brain barrier)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뇌 신호 측정 기기를 인체
내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됨
○ 향후 이 기술이 효과적으로 적용될 경우 신체적 장애나 신경계 질병에 대처하는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됨
- 연구 결과 스텐트로드(stentrode)를 통한 뇌 신호 측정치의 품질이 현재 상업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뇌파 측정기와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남
- 본 연구는 동물 실험에 기반한 것으로, 2017년 실제 인체에 대한 시험이 진행될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