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신동향
해외단신
인공지능∙로봇과 기업경영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6-02-16
- 등록일 2016-03-14
- 권호
○ 배경
- 인공지능(AI), 로봇, 빅데이터 등 ‘제4차 산업혁명’은 경제사회에 대해 기존 IT를 초월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음.
- 이에 일본정부도 AI나 로봇 기술개발 및 보급을 추진하기 시작하였으며 ‘일본부흥전략 개정 2015’에서는 ‘IoT,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에 의한 산업구조 및 취업구조 변혁’을 추진하고 있음
- 한편, 경제학 시점에서 고찰해 보면 AI나 로봇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플러스와 마이너스 양면이 있음. 그러나, 이는 어디까지나
과거 사례에 의한 추론일 뿐, AI 등에 관한 구체적 데이터에 기초한 연구가 아님
- 따라서 이 문제에 실증적 사실을 제공하고자 일본기업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함
○ 조사 항목
- 빅데이터 이용 및 이용 의향
- AI와 로봇의 개발 및 보급이 경영과 사업활동, 고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견해
- 이들 설문결과를 집계하여 결과를 제시하고, 산업, 기업규모, 종사자 구성, 제품 및 서비스 시장의 지리적 범위 등과의 관계도
분석함
○ 분석결과 및 정책적 시사점
- 정보통신업을 물론 서비스산업 기업은 모두 AI 이용과 효과에 대해 긍정적이었으며, 이는 폭넓은 서비스업종을 포함한 AI 이용
산업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
- 빅데이터 이용, AI와 로봇의 개발 및 보급이 경영과 고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추계결과, 종업원 학력이 높은 기업, 평균연령이
낮은 기업, 재산과 서비스 시장의 지리적 범위가 넓은 기업 등 AI 영향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는 것으로 보임
- AI 신기술과 노동자 기술수준 사이에 보완성이 관찰되며 AI 개발 및 보급을 가속시키면서 직원의 고용기회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인적자본의 질적 향상이 필수임을 시사
- 또한, 기업활동의 글로벌화는 AI개발 및 보급을 가속화 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