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2016년 에너지원별 전기 생산 예정량 분석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6-02-29
  • 등록일 2016-03-28
  • 권호

○ 에너지부(DOE) 산하 에너지정보처(EIA)*는 2016년에 추가될 예정인 전력 생산량을 발전원별로 분석한 결과를 발표

 
  * U.S.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 미국의 발전량은 2016년 한 해 동안 총 26 기가와트(GW)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이 중 태양광(9.5 기가와트), 천연가스(8 기가와트), 풍력(6.8 기가와트)을 통한 발전량의 증가가 전체의 93%에 달함


 - 만약 예정대로 전력 생산이 진행될 경우 2016년은 발전량 증가에 태양광이 가장 많은 기여를 한 첫 해로 기록될 것임


○ 9.5 기가와트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는 2016년 태양광 에너지 발전 용량 증가치는 역대 최고치를 경신할 것으로 전망됨


 - 이는 2015년의 3.1 기가와트는 물론 지난 3년 간의 증가치의 합계인 9.4 기가와트보다도 높은 수치임


○ 천연가스 발전량은 지난 5년 간의 연간 평균인 7.8 기가와트보다 살짝 높은 8.0 기가와트의 발전 증가량을 보일 것으로 전망됨


○ 2016년 풍력 발전량은 6.8 기가와트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2015년의 8.1 기가와트에 비해서는 다소 적은 편임


○ 원자력 발전의 경우 테네시주 와츠 바(Watts Bar) 원전 2호기가 6월에 가동될 예정으로, 이는 1996년 5월 와츠바 원전 1호기 이후

    20년만에 처음으로 가동되는 원자력 발전소가 될 것임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