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차량 공유 서비스를 이용한 대중교통 관련 정부 예산 경감 방안을 제시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6-03-08
  • 등록일 2016-04-11
  • 권호

○ 브루킹스 연구소는 Lyft나 Uber와 같은 차량 공유 서비스를 활용해 정부의 교통 예산을 절감하는 방안을 제안


○ 미국은 거동이 불편한 교통약자들을 위해 수요응답형 교통서비스(demand response services)를 제공하도록 법으로 규정하고

    있음


 - 준공공교통기관(paratransit)이나 호출형(dial-a-ride) 서비스 등으로 불리는 이러한 교통 서비스는 정해진 일정이나 노선 없이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교통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특성이 있음


 - 수요응답형 서비스는 상대적으로 비용이 높을 수 밖에 없음에도 불구하고 요금을 일단 대중 버스의 2배로 제한해 나머지를 정부가

   보조하는 형태로 운영되고 있음


○ 빠르게 발전하는 IT 기술과 차량 공유 서비스 기술은 이와 같은 문제를 기술과 시장에 기반해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


 - 차량 공유 서비스는 탐색 및 거래 비용을 현저하게 절감시킬 수 있으며 소프르웨어 플랫폼의 활용을 통해 기존의 대중 교통 수단과

   연계도 가능함


 - 이를 통해 정부는 교통약자들에게 보다 편리한 교통 수단을 제공하는 한편, 관련 서비스에 들어가는 보조금 등 예산을 절감하는

   효과도 거둘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됨


○ 정부의 차량 공유 서비스 활용 방안은 기존 택시 노동자들의 반발, 스마트폰 기기의 보급, 정부와 기업간의 협력, 사업성의 확보

    등의 잠재적 문제점을 극복할 경우 정부의 교통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는 한편 비용을 절감하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임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