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희소금속 분류 및 파급효과 평가 기준 개발 및 결과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6-03-18
  • 등록일 2016-04-11
  • 권호

○ 국가과학기술위원회(NSTC)*는 회소금속(Critical Mineral)을 분류하고 파급효과를 평가하는 체계적인 방안을 제시하는

    보고서**를 발표


 *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Council


 ** Assessment of Critical Minerals: Screening Methodology and Initial Application


○ 희소금속은 ① 공급이 불안정하다는 점과 ② 안정적 확보에 실패할 경우 국가 경제와 안보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두가지

    특성을 가짐


○ 본 보고서는 희소금속을 분류하고 판단하는 1단계 과정으로 지표를 활용해 잠재적 희소금속을 걸러내고, 2단계로 이러한 잠재적

    희소금속의 경제적, 사회적, 안보적 파급효과를 분석해 최종 판단 여부를 결정하는 방식을 제시


 - 1단계 판단은 공급 리스크, 생산 변화량, 시장 가격 민감성에 기반한 단일 지표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며, 그 결과로 17개의 잠재적

    희소금속을 선정


 - 2단계 판단은 17개 잠재적 희소금속에 대한 경제적, 사회적, 안보적 파급효과 분석에 따라 이루어지며, 분석 결과는 내년에 발표될

   예정


○ 희소금속을 분류하고 그 파급효과를 분석하는 것은 정부의 투자와 수출입 전략을 수립하는데 기반이 되는 활동으로, 내년에 최종

    선정된 희소금속이 발표되면 관련 정책 및 전략 계획 수립에 적극적으로 활용될 것으로 전망됨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