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신동향
해외단신
사회시스템의 국제표준화 현황 및 시책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국제화
- 원문발표일 2016-03-02
- 등록일 2016-04-11
- 권호
○ 지난 3월 2일 개최된 내각부 제4회 시스템기반기술검토회 회의에서는 사회시스템의 국제표준화 시책에 대한 논의가 있었음
○ 사회시스템에 관한 국제표준화 현황
- 여러 분야에서 개개 제품과 기술의 표준화뿐만 아니라, 시장구조 그 자체 즉 시스템의 국제표준화 검토가 개시되었으며 일본에서도
적절한 대응이 필요
○ IoT/빅데이터에 관한 국제표준화 검토현황
- IoT국제표준화 활동 : ① ISO/IEC JTC 1(Joint Technical Committee 1)/WG 10에서 논의 중, ② 중국이 제안한 ISO/IEC 30141를
4파트로 나누는 방향으로 논의 중, ③ 미국을 중심으로 각국이 적극적으로 기여, ④ 서브그룹(SRG:Subgroup Rapporteur
Group)을 설치, 주변 환경 및 다음 단계도 고려하면서 추진
- 빅데이터에 관한 국제표준화 활동 : ① ISO/IEC JTC 1/WG 9에서 논의 중, ② 현재 한국의 제안으로 개발이 개시된 2개 국제규격
(ISO/IEC 20546(개요와 용어), ISO/IEC 20547(참조 구성))을 논의 중에 있으며, ISO/IEC 20547은 5파트로 나눠 논의, ③ 미국
(NIST)이 독주적으로 논의하려고 하는 시점에, 일본은 한국과 협조하면서 적극적으로 의견을 제출함으로써 강제적인 국제표준화를
제어하고 있음
- 향후 IoT/빅데이터 국제표준화 검토 방향성 : 초기단계에서부터 사업적인 면을 고려하면서 폭넓은 관점에서 표준화활동을 실시할
필요가 있음
○ IEC의 Smart Manufacturing에 관한 국제표준화 검토 방향성
- 스마트그리드 시스템 표준 검토는 ‘Reference Architecture Model’을 이용하고 있으며 Industry 4.0 표준 검토도 이 방법을 답습
하여 모델 구축 검토부터 개시
- ‘Reference Architecture Model’을 사용한 표준화는 기존 ‘단일제품 및 기술’에 관한 표준책정방법이 아닌 사업화 및 사용자를
고려한 정보, 통신, 물체 등의 요소 표준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검토하는 탑다운적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