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신동향
해외단신
자동주행비즈니스검토회, 「향후 대응방안」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6-03-23
- 등록일 2016-04-25
- 권호
○ 경제산업성과 국토교통성은 ’15.2 「자동주행비즈니스검토회」를 설치하고, 일본이 자동주행 분야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전세계적 교통사고 감소 등에 기여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산관학 차원에서 검토하여 금번「향후 대응방침」공표
[배경・목적]
- 본 검토회가 ’05.6 공표한 「중간보고」에서는 ①관계자간 자동주행의 미래상 공유②이의 실현을 위해 경쟁영역 및 협력영역을
전략적으로 구분하여 향후 대응방침 마련③국제적인 기준 및 표준 작성에 전략적으로 대응하는 체제 정비④산학연계 촉진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각각에 대하여 워킹그룹을 설치하는 등 검토 추진
- 워킹그룹 등의 논의 결과를 반영하여 향후 대응방침을 정리한 본 대응방침 발표
[「향후 대응방침」의 개요]
※ 자동주행의 자동화 수준 분류는 NHTSA(National Highway Traffic Safety Administration: 미국 도로교통안전국)에 따라 4단계로
분류
○ 장래상의 공유 및 경쟁・협력의 전략적 구분
① 자동주행(일반차량 2,3단계) : 빠르면 ‘18년까지 자동주행 2단계 실현, 협력이 중요한 8개 분야를 설정하고, 기존 사업도 활용
하면서 지속 추진(지도, 통신, 사회수용성, 인간공학, 기능안전 등, 보안, 인식기술, 판단기술)
② 자동주행(일반차량 4단계) : 중간보고 이후 전용공간 등에서 4단계를 먼저 검토, 일반자동차과의 혼재 문제도 포함한 4단계에
대하여 국내외 관계자의 의견을 모아 검토
③ 대열주행(트럭, 2단계) : 야간장거리수송 등 후속차량(무인) 3대 이상 대열주행 실현, 기술면(전자연결의 안전성・신뢰성 확보 등)
등 해결과제가 많으므로 실현을 위한 단계별 노력이 필요
④ 자동발렛파킹(전용공간 일반차량 4단계) : ‘20년경 전용주차장에서 자동발렛파킹 실현
○ 국제적 기준 및 표준 작성을 위한 전략적 대응 : 일본이 국제적 기준 및 표준 작성을 선도할 수 있도록 기준과 표준을 연결하는
전략적 검토를 실시하는 장을 설치
○ 산학연계 촉진: 고도의 자동주행 실현을 위한 학계의 역할 및 분야 등에 대하여 지속 검토